"日 방사능 바닷물 타고 한반도 도달 가능성 거의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바다에 유입되더라도 한반도 주변 바다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해양연구원은 21일 북서태평양 해수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방사성 물질 입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 결과 이 같은 분석이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의 남쪽을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난류)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최대 유속 1m/s, 폭 100km 이상 규모로 일관되게 동쪽으로 흐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후쿠시마 원전의 북동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한류) 또한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 태평양 내부 또는 동쪽으로 흘러가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영호 한국해양연구원 박사는 "쿠로시오 해류에 따라 바닷물이 주로 동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유출된 방사성 물질이 바닷물에 들어간다 해도 한반도 연안의 직접적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은 또 이 같은 해수 흐름 모델에 입자추적 시스템까지 적용, 방사성 입자의 장기적 확산 경로도 시뮬레이션해 공개했다.
지난 16일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이 바닷물에 흘러들었다고 가정하고 오는 6월 27일까지 그 물질들이 바다에서 어떤 양상으로 퍼지는 추정한 것이다.
그 결과 방사성 입자는 4월 한 달가량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머물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뒤, 다시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중심부로 흘러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6월 말까지 바닷물을 통해 한반도 주변 해역까지 방사성 입자가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
한국해양연구원은 21일 북서태평양 해수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방사성 물질 입자의 이동 경로를 예측한 결과 이 같은 분석이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의 남쪽을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난류)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최대 유속 1m/s, 폭 100km 이상 규모로 일관되게 동쪽으로 흐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후쿠시마 원전의 북동쪽으로부터 남쪽을 향해 흐르는 오야시오 해류(한류) 또한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 태평양 내부 또는 동쪽으로 흘러가게 된다는 설명이다.
김영호 한국해양연구원 박사는 "쿠로시오 해류에 따라 바닷물이 주로 동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유출된 방사성 물질이 바닷물에 들어간다 해도 한반도 연안의 직접적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은 또 이 같은 해수 흐름 모델에 입자추적 시스템까지 적용, 방사성 입자의 장기적 확산 경로도 시뮬레이션해 공개했다.
지난 16일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이 바닷물에 흘러들었다고 가정하고 오는 6월 27일까지 그 물질들이 바다에서 어떤 양상으로 퍼지는 추정한 것이다.
그 결과 방사성 입자는 4월 한 달가량 후쿠시마 연안 지역에 머물다가, 오야시오 해류를 만나 남하한 뒤, 다시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태평양 중심부로 흘러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6월 말까지 바닷물을 통해 한반도 주변 해역까지 방사성 입자가 확산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