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돈줄은 '금고 속 金 143t'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조3000억원어치 국내 쌓아둬…용병 고용해 버틸 자금 충분
리비아의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에 대한 국제사회의 '돈줄 죄기'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카다피가 리비아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막대한 규모의 금을 활용,대규모 용병부대를 운영하면서 버티기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 "리비아 중앙은행이 보유한 65억달러(7조3000억원) 이상의 금이 카다피가 서방과 싸우는 데 사용될 주요 자금원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카다피 통제하에 있는 리비아 중앙은행은 143.8t의 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세계 금 보유국 순위에서 25위 안에 드는 규모다. FT는 "카다피가 실제 수중에 장악하고 있는 금은 IMF 추정치보다 많을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특히 세계 대다수 중앙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금을 런던이나 뉴욕,스위스 등의 금고에 보관하고 있지만 리비아는 중앙은행 소유 금 전부를 자국 내에서 관리하고 있어 언제든지 바로 현금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들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카다피의 해외 금융자산을 동결해 자금줄을 막는다 할지라도 카다피는 금을 팔아 정권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FT는 "카다피가 현재 보유한 금만 가지고도 대규모 용병부대를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고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뿐만 아니라 석유 수출로 축적해놓은 현금을 정권 유지에 사용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 "리비아 중앙은행이 보유한 65억달러(7조3000억원) 이상의 금이 카다피가 서방과 싸우는 데 사용될 주요 자금원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카다피 통제하에 있는 리비아 중앙은행은 143.8t의 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세계 금 보유국 순위에서 25위 안에 드는 규모다. FT는 "카다피가 실제 수중에 장악하고 있는 금은 IMF 추정치보다 많을 것이란 분석도 적지 않다"고 덧붙였다.
특히 세계 대다수 중앙은행은 보유하고 있는 금을 런던이나 뉴욕,스위스 등의 금고에 보관하고 있지만 리비아는 중앙은행 소유 금 전부를 자국 내에서 관리하고 있어 언제든지 바로 현금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들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카다피의 해외 금융자산을 동결해 자금줄을 막는다 할지라도 카다피는 금을 팔아 정권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FT는 "카다피가 현재 보유한 금만 가지고도 대규모 용병부대를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고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뿐만 아니라 석유 수출로 축적해놓은 현금을 정권 유지에 사용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