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시스템 컨퍼런스] "엔화 당분간 80엔대 초반 안정…중장기적으로 80엔대 후반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한경·금융硏·ADB 공동주최
인터뷰 / 가와이 마사히로 ADBI 소장·다카기 신지 日오사카大 교수
일본인, 위기일수록 엔화 신뢰…日 지진복구 비용 10조엔대 예상
韓·中과 FTA로 살 길 모색해야
인터뷰 / 가와이 마사히로 ADBI 소장·다카기 신지 日오사카大 교수
일본인, 위기일수록 엔화 신뢰…日 지진복구 비용 10조엔대 예상
韓·中과 FTA로 살 길 모색해야
일본의 대표 경제학자들은 주요 7개국(G7)의 외환시장 공동 개입으로 앞으로 수개월간 엔화가 80엔대 초반에서 안정될 것이며 중장기적으론 80엔대 후반으로 약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일본 정부는 한국 ·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을 적극 추진,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수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가와이 마사히로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I) 소장과 다카기 신지 일본 오사카대 교수는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G7의 외환시장 공동 개입에 대해 "적절한 조치였다"고 입을 모았다.
다카기 교수는 11년 만에 단행된 G7의 환율 공조에 대해 "G7은 환시장 개입에 대해 확실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개인적으로 G7의 결정에 반대하지만 치솟는 엔화를 잡을 뾰족한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엔화 가치를 더 이상 오르게 할 재료는 없다"며 "중장기적으로 엔화 환율은 80엔대 후반을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와이 소장은 "엔화 가치가 급등한 1995년엔 경기가 좋았지만 지금은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이 안 좋은 상태"라며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대규모 유동성 공급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진 발생 후 초강세를 보인 엔화 움직임에 대해 가와이 소장은 "보통 신흥국에서 위기가 생기면 사람들은 현지 통화를 팔고 달러 사재기에 나서면서 통화 가치가 급락하게 마련"이라며 "그러나 일본인들은 위기 때 가장 안전한 통화로 엔화를 떠올린다"고 설명했다. 다카기 교수는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엔화 가치가 뚝 떨어졌으나,1995년 고베 지진과 이번 도호쿠 지진에선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며 "1995년 지진 때와 이번의 경우 세계 보험회사들이 피해 복구를 위해 해외자산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엔화 가치가 치솟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아직 일본 자금이 해외로부터 회수됐다는 얘기는 없다"며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다소 진정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악화일로의 중동 사태가 국제 유가를 자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일본 경기 회복의 움직임에 대해 두 사람은 "복구 작업은 그리 길지 않을 것이며,이로 인한 경기 침체도 심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카기 교수는 "매우 광범위한 범위에서 피해가 발생했지만 대부분 옛날 목조건물이 무너졌으며,공장 피해가 적다는 점에서 (복구) 소요 기간은 짧을 것"이라며 "복구 비용도 고베 지진 때의 10조엔(138조원)과 비슷하거나 약간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올 2분기(4~6월) 일본 국내총생산(GDP)도 0.5% 감소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가와이 소장은 "2009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 당시 20만여명의 사상자가 나오고 수백채의 건물이 붕괴됐으나 5년여 만에 복구 작업은 완료됐다"며 "도호쿠 지진에 따른 사상자 수가 수마트라 때의 10분의 1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도로 등 인프라가 크게 파괴되면서 5년 정도의 복구 기간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BOJ가 지진 발생 후 지금까지 총 40조엔을 금융시장에 투입하며 경기 안정세를 유도하고 있다"며 "일본 경기가 앞으로 6개월간 마이너스 성장기를 거친 뒤 'U'자형 회복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진 등으로 폭발해 방사선을 내뿜고 있는 원전의 빠른 복구가 경기 회복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가와이 소장은 "원전 파손으로 피폭자가 속출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에서 멀리 떨어진 도쿄와 도치기현 등지의 채소에서 방사선이 검출됐다"며 "국민들의 심리적 불안감이 클수록 경기 회복세는 둔화될 것이며 빠른 시간 내 원전을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기업들의 활동이 수축된 것과 관련,다카기 교수는 "한국의 제품력이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만큼 일본 기업은 이들에 부품 등을 공급하는 등 연계해 해외시장 공략을 해야 한다"며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과도 보다 구체적인 경제 협력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와이 소장은 "한국 중국과의 FTA 체결과 TPP 가입을 적극 추진,살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
가와이 마사히로 아시아개발은행연구소(ADBI) 소장과 다카기 신지 일본 오사카대 교수는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G7의 외환시장 공동 개입에 대해 "적절한 조치였다"고 입을 모았다.
다카기 교수는 11년 만에 단행된 G7의 환율 공조에 대해 "G7은 환시장 개입에 대해 확실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며 "개인적으로 G7의 결정에 반대하지만 치솟는 엔화를 잡을 뾰족한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엔화 가치를 더 이상 오르게 할 재료는 없다"며 "중장기적으로 엔화 환율은 80엔대 후반을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와이 소장은 "엔화 가치가 급등한 1995년엔 경기가 좋았지만 지금은 일본 경제의 펀더멘털이 안 좋은 상태"라며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대규모 유동성 공급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진 발생 후 초강세를 보인 엔화 움직임에 대해 가와이 소장은 "보통 신흥국에서 위기가 생기면 사람들은 현지 통화를 팔고 달러 사재기에 나서면서 통화 가치가 급락하게 마련"이라며 "그러나 일본인들은 위기 때 가장 안전한 통화로 엔화를 떠올린다"고 설명했다. 다카기 교수는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엔화 가치가 뚝 떨어졌으나,1995년 고베 지진과 이번 도호쿠 지진에선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며 "1995년 지진 때와 이번의 경우 세계 보험회사들이 피해 복구를 위해 해외자산을 회수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엔화 가치가 치솟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아직 일본 자금이 해외로부터 회수됐다는 얘기는 없다"며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다소 진정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악화일로의 중동 사태가 국제 유가를 자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일본 경기 회복의 움직임에 대해 두 사람은 "복구 작업은 그리 길지 않을 것이며,이로 인한 경기 침체도 심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카기 교수는 "매우 광범위한 범위에서 피해가 발생했지만 대부분 옛날 목조건물이 무너졌으며,공장 피해가 적다는 점에서 (복구) 소요 기간은 짧을 것"이라며 "복구 비용도 고베 지진 때의 10조엔(138조원)과 비슷하거나 약간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올 2분기(4~6월) 일본 국내총생산(GDP)도 0.5% 감소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가와이 소장은 "2009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 당시 20만여명의 사상자가 나오고 수백채의 건물이 붕괴됐으나 5년여 만에 복구 작업은 완료됐다"며 "도호쿠 지진에 따른 사상자 수가 수마트라 때의 10분의 1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도로 등 인프라가 크게 파괴되면서 5년 정도의 복구 기간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BOJ가 지진 발생 후 지금까지 총 40조엔을 금융시장에 투입하며 경기 안정세를 유도하고 있다"며 "일본 경기가 앞으로 6개월간 마이너스 성장기를 거친 뒤 'U'자형 회복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진 등으로 폭발해 방사선을 내뿜고 있는 원전의 빠른 복구가 경기 회복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가와이 소장은 "원전 파손으로 피폭자가 속출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에서 멀리 떨어진 도쿄와 도치기현 등지의 채소에서 방사선이 검출됐다"며 "국민들의 심리적 불안감이 클수록 경기 회복세는 둔화될 것이며 빠른 시간 내 원전을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기업들의 활동이 수축된 것과 관련,다카기 교수는 "한국의 제품력이 세계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만큼 일본 기업은 이들에 부품 등을 공급하는 등 연계해 해외시장 공략을 해야 한다"며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과도 보다 구체적인 경제 협력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와이 소장은 "한국 중국과의 FTA 체결과 TPP 가입을 적극 추진,살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