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증권은 23일 LIG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은 오히려 은행의 높은 손실을 감내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증권사 이병건 연구원은 "LIG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중견 건설사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며 "이는 오히려 국내 금융권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LIG건설은 2월 기준 1조893억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채무를 갖고 있다. LIG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음에도 은행권의 실제 손실 예상금액은 크지 않고, 정부가 DTI규제 완화 일몰을 그대로 시행하는 등 시장에 충격은 적다는 판단이다.

LIG건설에 대한 충당금 부담은, 상대적으로 익스포저가 큰 KB금융, 우리금융, 신한금융의 경우에도 200억~600억원에 그친다는 추정이다.

비슷한 예로 팬텍을 들었다. 2006년말 1조4000억원의 금융권 여신을 보유한 팬텍이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당시 금융권의 실제 손실액은 미미한 수준이었고, 은행주에 오히려 약이 됐었다는 설명이다.

또한 보험사의 건전성도 다시 확인할 수 있게 됐다는 주장이다. LIG건설과 계열관계인 LIG손해보험의 경우 PF 30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서초동 오피스텔건은 이미 분양이 98% 완료된 건이고, 미착공건인 사당동 재개발아파트건에 대한 200억원의 여신도 상대적으로 우량하다는 해석이다. 최종적으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오히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험사들이 부실 계열사에 지원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이 연구원은 풀이했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