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연구팀 "성체줄기 세포로 췌장염 치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순선 · 이돈행 · 송순욱 인하대병원 교수팀은 골수 유래 성체줄기세포를 고순도로 얻을 수 있는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급성췌장염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줄기세포의 비중차를 이용해 보다 순수한 줄기세포만을 걸러낸 다음 이를 급성췌장염에 걸린 생쥐에 주사한 결과 췌장 조직의 부종 · 괴사 · 염증이 약 40~60%,과분비된 췌장 소화효소가 약 20~6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줄기세포 주입 후 종양괴사인자(TNF-α),IL(인터페론)-1β등 다양한 염증 표지자들이 감소했다.
송순욱 교수는 "고순도 성체줄기세포가 염증을 유발하는 T세포의 침투를 억제하고,조절 T세포(Treg)를 유도해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면역매개물질)을 감소시킴으로써 급성췌장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또 성체줄기세포에 'CM-DiI'이라는 형광물질로 염색해 추적한 결과 줄기세포가 손상된 췌장으로 이동해 염증의 완화 및 세포 재생에 기여한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급성췌장염은 인구 10만명당 40명꼴로 발병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스테로이드로 치료하지만 환자의 20%가 중증으로 악화하고 이 중 30%가 사망에 이르는 질환이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
공동연구팀은 줄기세포의 비중차를 이용해 보다 순수한 줄기세포만을 걸러낸 다음 이를 급성췌장염에 걸린 생쥐에 주사한 결과 췌장 조직의 부종 · 괴사 · 염증이 약 40~60%,과분비된 췌장 소화효소가 약 20~65%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줄기세포 주입 후 종양괴사인자(TNF-α),IL(인터페론)-1β등 다양한 염증 표지자들이 감소했다.
송순욱 교수는 "고순도 성체줄기세포가 염증을 유발하는 T세포의 침투를 억제하고,조절 T세포(Treg)를 유도해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면역매개물질)을 감소시킴으로써 급성췌장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또 성체줄기세포에 'CM-DiI'이라는 형광물질로 염색해 추적한 결과 줄기세포가 손상된 췌장으로 이동해 염증의 완화 및 세포 재생에 기여한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급성췌장염은 인구 10만명당 40명꼴로 발병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스테로이드로 치료하지만 환자의 20%가 중증으로 악화하고 이 중 30%가 사망에 이르는 질환이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