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상장한 해외기업들이 한국 투자자와 완전한 소통을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는 올까?

해외 상장기업들에 대한 정보난으로 애꿎은 국내 투자자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

직접투자 문화에서 기업관련 정보는 곧 이익으로 연결되는 가장 중요한 투자요소다. 때문에 루머들이 난무하기 마련이다. 특히 정보의 접근성이란 측면에서 확인이 쉽지 않은 해외기업들의 경우엔 '~카더라'식 루머가 걷잡을 수 없이 퍼지기도 한다.

싱가포르 거래소에 1차 상장돼 있는 중국업체 중국고섬이 바로 이러한 경우다.

이 회사의 주권거래가 지난 22일 돌연 정지되자 한국시장에선 투자자들 사이에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한 정보전이 벌어졌다. 한국사무소가 없는 외국 기업의 경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중국고섬은 코스피에 상장되기 약 3주 전인 지난 1월 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시장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한국에 사무소를 두겠다"고 공언했지만 한국사무소 설립은 아직까지 깜깜 무소식이다.

또 같은 날 회사 측이 기업홍보 담당자로 소개한 '중국어와 한국어가 유창한 조선족'은 정식 직원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현재 중국고섬에서 홍보 교육을 받고 있는 중"이라며 "싱가포르 거래소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중국고섬의 늑장공시도 답답함을 키웠다.

지난 21일 싱가포르 시장에서 중국고섬의 주가가 급락하자 싱가포르거래소는 중국고섬에 주가 급락 사유, 공정공시 위반 여부 등을 묻는 조회공시를 요구했고, 중국고섬은 답변일까지 거래를 중지시켜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중국고섬이 한국시장에 이 사실을 공시한 것은 지난 22일 오전 11시55분이다. 한국거래소가 원주의 거래정지로 중국고섬의 주권거래를 중지시킨 오전 10시보다도 2시간이나 늦은 것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한국에서는 중국고섬 관계사들의 멘트에 의존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중국고섬의 주요 '창구'는 상장을 주관했던 대우증권, 중국고섬의 홍보를 맡고 있는 한 홍보대행사, 한국의 공시 대리인인 법무법인 등이다. 그러나 이들 역시 회사 측의 입장을 2, 3차례 걸러 전달할 뿐이라 정확한 정보를 주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회사 측과 직접 연락이 어렵자 시장에는 각종 '설'이 분분했다. 사건 초기에는 중국고섬의 자발적인 매매거래 정지 신청이 '싱가포르 거래소가 공시위반을 사유로 중국고섬의 매매를 정지시켰다'는 것으로 와전됐고 '최대주주가 싱가포르시장에서 5000만주를 투매했다'는 설도 돌았다.

24일은 중국고섬이 공정공시 위반 여부 등 싱가포르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답을 해야 하는 날이다. 그동안 '모르쇠' 태도를 보였던 중국고섬이 이번에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때 제공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