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으로 올해 성장률 0.05~0.25%p 상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일본 도호쿠 지방 대지진의 영향으로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최대 0.25% 포인트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올해 GDP 증가율이 연초 전망치 4.1%에 비해 0.05~0.25% 포인트 높은 4.15~4.36%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연은 원전 사고로 일본 산업현장의 복구에 시간이 걸릴수록 한국의 GDP 증가율이 더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고베지진때와 같이 6개월안에 회복하면 상승률은 0.05%포인트,방사성 오염으로 1년가량 회복기간이 필요하면 0.14%포인트,원전 사고가 확대되며 복구에 2년 이상 시간이 걸리면 0.25%포인트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의 생산 및 수출이 감소하면서 대체 효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타지역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결과다.각각의 시나리오별로 수출은 0.07~0.3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산업별로는 전자 기계 철강 수송장비 자동차에서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대일본 수출은 0.66%에서 2.81%까지 줄어들고,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0.22~0.9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GDP 성장률은 전망치에 비해 각각 0.9%~4.0%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으며,이에 따라 세계 경제의 성장률도 0.05~0.24%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보고서를 작성한 조경엽 선임연구위원은 “도로,철도 등 주요 기반시설이 파손되면서 피해액은 연간 GDP의 3~5%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최악을 벗어난다고 하더라도 올여름까지 도호쿠 및 간토지역 전력 공급량의 22%가량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대지진 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엔화에 대해 장기적으로 성장 둔화,금융시장 안정과 피해복구를 위한 유동성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향후 약세로 반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일본과 경쟁하고 있는 업종에서의 반사 이익이 예상되지만 보완 관계인 산업에서 부품소재 및 중간재 조달 차질 등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부품·소재산업의 국산화율을 높이고,수입선을 다변화하는 등의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일본 대지진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올해 GDP 증가율이 연초 전망치 4.1%에 비해 0.05~0.25% 포인트 높은 4.15~4.36%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연은 원전 사고로 일본 산업현장의 복구에 시간이 걸릴수록 한국의 GDP 증가율이 더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고베지진때와 같이 6개월안에 회복하면 상승률은 0.05%포인트,방사성 오염으로 1년가량 회복기간이 필요하면 0.14%포인트,원전 사고가 확대되며 복구에 2년 이상 시간이 걸리면 0.25%포인트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의 생산 및 수출이 감소하면서 대체 효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타지역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결과다.각각의 시나리오별로 수출은 0.07~0.37%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산업별로는 전자 기계 철강 수송장비 자동차에서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대일본 수출은 0.66%에서 2.81%까지 줄어들고,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0.22~0.9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GDP 성장률은 전망치에 비해 각각 0.9%~4.0%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으며,이에 따라 세계 경제의 성장률도 0.05~0.24%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보고서를 작성한 조경엽 선임연구위원은 “도로,철도 등 주요 기반시설이 파손되면서 피해액은 연간 GDP의 3~5%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최악을 벗어난다고 하더라도 올여름까지 도호쿠 및 간토지역 전력 공급량의 22%가량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대지진 후 강세를 보이고 있는 엔화에 대해 장기적으로 성장 둔화,금융시장 안정과 피해복구를 위한 유동성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향후 약세로 반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일본과 경쟁하고 있는 업종에서의 반사 이익이 예상되지만 보완 관계인 산업에서 부품소재 및 중간재 조달 차질 등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부품·소재산업의 국산화율을 높이고,수입선을 다변화하는 등의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