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불어난 것은 지난해 부동산과 주식 가격이 동반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년 전보다 5억원 이상 늘어난 공직자만 69명에 달했다.


◆"계란 한바구니에 담지 마라"

올해 재산 변동내역 신고 대상인 2305명의 고위 공직자 가운데 1615명(70.0%)의 재산이 전년보다 늘었다. 이들 대부분이 부동산,주식,예금 등에 재산을 분산 투자하고 있었다.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마라'는 투자 원칙에 맞춰 재산을 불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행정부 공직자(1831명)의 경우 신고재산 평균이 11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000만원 늘어났다. 재산 증가자가 1239명으로 감소자(592명)보다 2배 넘게 많았다. 유형별로는 부동산이 1700만원,예금 · 주식평가액 등이 2300만원 각각 늘어났다.

국회의원의 평균 신고액은 20억2900만원이었다. 재산이 1000억원을 넘는 정몽준 · 김호연 한나라당 의원을 제외한 수치다. 사법부는 평균 20억3151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15만원 증가했다. 정몽준 의원의 신고금액이 3조6043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행정부에서는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장이 332억원으로 1위였다.

재산 증가자 10명 가운데 4명은 한 해 동안 1억원 이상 늘었다. 행정부가 515명,입법부 147명,사법부 46명 등이었다. 반면 재산 감소자는 행정부 592명(32.3%),입법부 77명(23.9%%),사법부 39명(25.8%)에 불과했다.


◆주식 투자 재미 '쏠쏠'

주식 투자에서는 국회의원들의 '재테크'가 돋보였다. 지난 1년간 재산이 가장 많이 불어난 의원 10명의 재산 증대 요인이 대부분 주식이었다.

재산총액 3조6708억원으로 전체 1위인 정몽준 의원은 현대중공업 주가 상승으로 주식으로만 2조2136억원 증가했다.

김호연 의원도 빙그레 등 보유주식의 평가액(1973억원)이 295억원 늘었다. 지난해 결혼한 윤상현 의원은 배우자 주식 179억원 등으로 재산총액(212억원) 상위권에 포진했다. 배영식 한나라당 의원은 주식으로 13억원을 벌었고,최인기 · 최영희 민주당 의원의 주식평가액도 각각 16억원과 7억원가량 늘었다. 오세훈 서울시장(58억원)은 회사채와 주식 등 유가증권이 2억8746만원,예금이 2억6587만원 증가해 부동산 증가분(1억원)을 앞질렀다.

◆재산 감소자 상당수가 '고지 거부'

재산 신고 대상자 가운데 직계 존 · 비속의 재산 고지를 거부하는 사례는 여전했다. 행정부에서만 476명(26%)이 가족의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국회의원도 112명(38.4%)이 가족 재산을 신고하지 않았다. 이러다 보니 이번 신고에서 재산이 가장 많이 감소한 10명 중 7명이 재산 고지를 거부한 사람들이었다. 현행 공직자윤리법은 직계 존 · 비속 재산의 경우 독립생계를 유지하거나 타인이 부양할 경우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행정부 신고 대상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이 감소한 백종헌 부산시의원은 감소분 101억8000만원 중 84억9000만원이 부모 재산을 신고하지 않아 줄어든 액수였다. 이상훈 경기도 의원도 부모 재산 68억7000만원이 빠지며 총재산이 3억7000만원으로 감소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6월 말까지 신고 내역을 심사해 허위 · 부실 신고 등이 적발되면 과태료 부과,징계요구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강황식/허란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