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특화상품 앞다퉈 출시

최근 가입자가 1천만명을 넘어선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모바일뱅킹 이용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이에 발맞춰 기존 온라인 상품보다 금리를 우대하는 전용 상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모바일뱅킹 이용 건수 43% 급증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올해 1~2월 모바일뱅킹을 통한 자금이체 건수는 하루 평균 8만4천632건으로, 작년 일 평균 5만9천275건보다 43%(2만5천357건)나 늘었다.

또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국내 인터넷뱅킹서비스 이용현황을 보면 국내 모바일뱅킹 이용자 수는 지난해 말 현재 1천575만명으로 전년의 1천117만명에 비해 41%(458만명) 급증했다.

모바일뱅킹의 일평균 이용건수와 금액도 전년보다 65.4%, 53.5% 증가한 285만건, 408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올해 연말에는 스마트폰 가입자가 2천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돼 사용하기 편리하고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뱅킹 이용자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권, 전용상품 잇달아 출시

지점수가 많지 않은 산업은행은 최근 스마트폰뱅킹 예금 가입자에게 인터넷뱅킹보다 금리가 0.2%포인트 높은 연 4.7%를 제공하는 정기예금 상품을 선보였다.

안정적인 산업금융채권 상품도 스마트폰을 통해 가입하면 인터넷을 통하는 것보다 0.31%포인트를 더해 최대 5.21%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6월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스마트뱅킹 전용상품을 선보인 뒤 1차 500억원 한도가 소진돼 지난달 18일부터 1천500억원 한도로 2차 판매에 들어갔으며, 최근까지 1만6천명이 가입해 650억원어치가 판매됐다.

신한은행은 28일 현재 온라인 상품보다 최대 연 0.9%포인트 높은 최고 연 4.65%의 우대금리를 적용한 스마트폰 전용상품인 '신한 S뱅크 특판예금'을 판매한다.

500억원 한도로 1인 1계좌에 한해 500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다.

국민은행은 계좌 현황을 농장으로 형상화해 게임처럼 즐길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적금·예금을 지난해 10월부터 판매해오고 있다.

현재 실적은 3만6천645좌, 1천2억원에 달한다.

하나은행도 최대 연 0.6%포인트의 금리를 우대하는 `하나 e-플러스 적금'과 '하나 e-플러스 정기예금' 등 스마트폰 전용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시장을 선점하려는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anfou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