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여파로 서울 등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도 요오드와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확인됐다. 그러나 연간 방사선량 한도의 20만~3만분의 1에 불과한 매우 적은 양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는 게 정부 당국의 설명이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은 29일 브리핑에서 "28일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공기를 채취, 분석한 결과 모든 측정소에서 극미량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이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 아래 모니터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으로부터 제공받아 공개하고 있는 국내 방사선 수치와 안전여부. 2011.3.29 jeong@yna.co.kr 기술원(KINS)에 따르면 검출된 방사성 요오드(131I)의 농도는 최소 0.049m㏃/㎥에서 최대 0.356 m㏃/㎥ 수준이었다. 이를 인체가 쪼이는 방사선량, 즉 피폭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4.72×10-6∼3.43×10-5mSv 범위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인 1mSv의 약 20만∼3만분의 1 정도다. 특히 춘천측정소에서는 세슘-137(137Cs)과 세슘-134(134Cs)도 각각 0.018m㏃/㎥, 0.015 m㏃/㎥ 확인됐다. 두 원소를 더해 피폭방사선량을 계산하면 1.21x10-5mSv로,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1mSv)의 약 8만분의 1 수준이다. 방사성 제논의 경우, 지난 26일 채취한 시료에서 최대치(0.878㏃/㎥)를 기록한 이후 12시간 간격으로 0.464㏃/㎥, 0.395㏃/㎥ 등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윤 원장은 "지금 들어오는 방사성 물질은 극미량으로, 인체 위험 가능성까지 연결하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이라고 본다"며 "이 정도 검출 수준으로는 국민 생활에 조금의 변화도 없을 것이라고 확실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방사성 물질은 이렇게 왔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영향으로 전국 12개 지방측정소에서 요오드.세슘 등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확인 된 가운데 29일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이 방후쿠시마발 추정 방사성물질 이동경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1.3.29 jeong@yna.co.kr 기술원은 이 요오드와 세슘 역시 앞서 발견된 제논과 마찬가지로 캄차카반도와 북극, 시베리아를 거쳐 유입된 것으로 추정했다. 이날 브리핑에 참석한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도 "캄차카반도 쪽으로 이동하는 기류, 짧은 순환이 있었다"며 "우리나라에 앞서 중국 헤이룽장성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도 증거"라고 개연성을 인정했다. 향후 방사성 물질 유입 전망을 묻는 질문에 윤 원장은 "지구가 결국 하나로 연결된 만큼 일본 원전 사고 영향으로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양이 중요하며, 지금 발견되는 것들은 극미량"이라고 설멸했다. 유희동 기상청 예보정책과장은 "일반적 대기 흐름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2~3주 걸리는 것으로 예상하지만, 어느 시기에 방사성 물질이 더 들어온다는 분석 결과는 없다"며 "저기압 형성과 함께 (방사성 물질이) 위로 들어올려진 뒤 편서풍 타고 이동했다가 고기압을 만나 땅에 떨어지는 과정을 거치므로 단순히 선형적으로 언제 어디에 더 떨어질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日원전 방사성 물질 확산 예측 경로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한국과 중국 지역에서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131이 검출되고 일본산 식품에서도 잇따라 방사성물질이 검출되면서 일본발 방사성 물질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지난 28일 오후 늦게 요오드 등의 검출 사실에 대해 기술원과 교육과학기술부가 수차례 입장을 바꿔 혼란을 야기한 것과 관련, 윤 원장은 "28일 오전 10시 시료 분석을 시작, 29일 오전 10시에나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분석 과정의 수치는 결과가 언제라도 바뀔 수 있어 의미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윤 원장은 체르노빌 사고 당시보다 이번 후쿠시마의 방사성 물질 유출량이 더 많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흑연 화재와 폭발로 (원자로 내부) 물질의 절반 정도가 고공으로 퍼져 확산된 체르노빌의 경우와 현재 일본은 유출 형태가 전혀 다르다"며 "대기 중 방사성 물질량이 체르노빌보다 많다고 보는 것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고 개인적 견해를 밝혔다. 한정연기자 jy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