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상 유가 101弗로 상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400개社 설문조사
당초 계획보다 14弗 높아져
당초 계획보다 14弗 높아져
중동지역의 정정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크게 오르면서 국내 기업들이 올해 예상 평균 유가를 배럴당 14달러나 상향 조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내 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유가변동과 경영환경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발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이 올해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예상 평균유가는 배럴당 87.2달러였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최근 재설정한 올해 평균 유가는 배럴당 101달러로,경영 계획 수립 때에 비해 13.8달러(15.8%) 높아졌다.
이에 따라 대부분 기업들이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의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68.8%가 유가 상승으로 올해 내수 판매가 당초 경영계획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고,62.5%는 수출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유가 급등은 이익 부문에 더 큰 영향을 미쳐 응답 기업의 77.3%는 영업이익이 경영계획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점쳤다.
대부분 기업은 유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투자계획을 유지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가 상승이라는 비용 부담에도 투자계획을 변경하지 않겠다는 답변이 77.4%였다.
유가 전망과 관련해선 이른 시일 안에 예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응답 기업의 81.2%가 회복 시점을 내년 이후로 꼽은 반면,올 상반기와 올 하반기로 답한 기업은 각각 1.9%와 16.9%에 그쳤다.
윤성민 기자 smyoon@hankyung.com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국내 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유가변동과 경영환경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발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이 올해 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예상 평균유가는 배럴당 87.2달러였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최근 재설정한 올해 평균 유가는 배럴당 101달러로,경영 계획 수립 때에 비해 13.8달러(15.8%) 높아졌다.
이에 따라 대부분 기업들이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의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68.8%가 유가 상승으로 올해 내수 판매가 당초 경영계획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고,62.5%는 수출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유가 급등은 이익 부문에 더 큰 영향을 미쳐 응답 기업의 77.3%는 영업이익이 경영계획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점쳤다.
대부분 기업은 유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올해 투자계획을 유지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가 상승이라는 비용 부담에도 투자계획을 변경하지 않겠다는 답변이 77.4%였다.
유가 전망과 관련해선 이른 시일 안에 예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응답 기업의 81.2%가 회복 시점을 내년 이후로 꼽은 반면,올 상반기와 올 하반기로 답한 기업은 각각 1.9%와 16.9%에 그쳤다.
윤성민 기자 smy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