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대규모 재개발 · 재건축 사업장의 이주가 올 하반기 집중돼 전세난을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9일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사업시행인가나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은 서울 재개발 · 재건축구역 33곳 중 18곳이 주민 이주시기를 올 하반기로 잡았다.

10곳은 1000가구 이상으로 개발되는 대규모 사업장이다. 재건축 추진 단지에선 가락시영이 1 · 2차를 합쳐 8106가구의 이주가 계획돼 가장 규모가 크다. 대치동 청실 1 · 2차는 1378가구가 이사하게 된다. 재개발 구역 가운데선 신월동 신정1-1구역 2519가구,봉천12-2구역 1249가구 등이 이주한다.

18곳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최근 재건축 계획이 확정된 개포지구 내 개포주공1단지(총 5040가구)도 사업이 빨리 진행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이주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재개발 · 재건축 이주 시기가 올 하반기에 몰린 것은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용적률 상향 추진 등의 이유로 사업이 늦어진 곳이 늘어난 까닭이다.

18개 재개발 · 재건축 조합이 계획대로 올 하반기 이주를 시작하면 가을 이사철과 맞물려 전 · 월세 수요가 급증,전세난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정부는 이주수요 분산을 위해 광역자치단체장이 재개발 · 재건축 사업 인 · 허가권을 가진 기초단체장에게 사업시행인가나 관리처분계획인가 시기를 조정토록 요구할 수 있는 내용의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개정안을 마련,작년 8월 국회에 상정했다.

그러나 아직 법안은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개정법이 발효되더라도 기존 단지 규모가 3000가구 이상인 곳에서 이주가 시작되면 전세시장에 미칠 충격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자치단체,각 사업의 조합들이 서로 긴밀히 협력해 이주계획을 세워야 전세시장 충격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