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유동성 금리부분 개선해야"(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김석동 금융위원장은 30일 “가계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실물 경제활동 수준을 고려해 총 유동성 및 금리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경밀레니엄포럼 조찬 강연에서 “지난 주 여러 논란 속에서도 당초 예정대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다시 부활시킨 것도 가계부채 문제를 더이상 보고만 있지 않겠다는 정책당국의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DTI 규제의 원상 회복은 차주의 상환능력을 벗어난 과도한 대출을 억제하는 등 건전한 대출 관행을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특히 우리경제의 최대 현안을 ‘가계부채 문제’라고 지적하며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경기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한국은행이 관리하는 총 유동성과 금리 문제를 꺼내고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가 관리하는 경기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정책을 지적한 것은 가계부채를 위해 모든 정부 부처가 공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금융당국 입장에서 담보인정비율(LTV) DTI 등 금융규제를 활용해 가계대출 증가속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며 “금융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위한 보완대책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한경밀레니엄포럼 조찬 강연에서 “지난 주 여러 논란 속에서도 당초 예정대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다시 부활시킨 것도 가계부채 문제를 더이상 보고만 있지 않겠다는 정책당국의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DTI 규제의 원상 회복은 차주의 상환능력을 벗어난 과도한 대출을 억제하는 등 건전한 대출 관행을 정착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특히 우리경제의 최대 현안을 ‘가계부채 문제’라고 지적하며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경기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가계의 채무상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한국은행이 관리하는 총 유동성과 금리 문제를 꺼내고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가 관리하는 경기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정책을 지적한 것은 가계부채를 위해 모든 정부 부처가 공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금융당국 입장에서 담보인정비율(LTV) DTI 등 금융규제를 활용해 가계대출 증가속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며 “금융 취약계층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위한 보완대책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