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새우젓장사 아닌가. 맞다면,아니 만약 아니라면…. 어,어,그만큼…. 정직하길 바라네." 서울 광화문에 있는 서울시극단 연습실.고전 중의 고전 '햄릿'을 연습 중인 배우들의 대사가 영 서툴다. 고민하며 혼잣말을 중얼거리는 햄릿은 한손에 야구공,다른 손엔 글러브를 끼고 있다.

햄릿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걸까. 이 극의 연출자는 대학로 간판스타인 박근형 씨(48 · 사진)다. 그는 서울시극단(단장 김철리)과 오는 8일부터 세종문화회관 M시어터 무대에 올리는 이 작품을 통해 '21세기 햄릿'을 만들기로 작심했다. 1999년 '청춘 예찬'을 비롯해 '너무 놀라지 마라' '경숙이,경숙이 아버지' '대대손손' 등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입증한 그는 "햄릿형 인간이 있는 게 아니라 인간 모두가 다 햄릿"이라고 말했다.

"누구나 그렇죠.마음은 있으나 행동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갖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극 중에서 누굴 죽여야할지 아직도 모르겠어요. 원작의 깊이와 장황함을 요즘 관객에 맞게 다듬고 복잡한 요소는 걷어낼 겁니다. 햄릿이란 인물에 집중하려고요. "

박씨는 원작의 단락들을 모두 뒤바꿨다고 했다. 극적인 장면보다 인물의 감정 흐름을 앞세웠다는 것.앞 부분에 있던 독백 '사느냐 죽느냐'는 말미에 배치했다. 공연 2주 전인데 배우들이 대사를 다 외우지 못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고전 번역극은 남의 나라 이야기이지만 지금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죠.대신 어렵지 않게,단순하게 만들려고 해요. 의상도 현대극처럼 하고 무대도 광장으로 옮겼어요. "

그의 연극에는 일상적인 이야기와 가족 간의 애증이 담겨 있다. 극의 중간에는 웃음이 숨어 있고 어느 순간 폭발하는 감정선도 들어 있다. 배우들은 꾸밈없이 연기한다. 박찬욱 봉준호 등 유명 영화 감독들이 공연 때마다 찾아와 배우들을 관찰한다.

"많이 놀아요. 배우들과 노는 시간을 가지며 관심을 기울이죠.그들의 생각과 삶을 자연스럽게 알게 되면 그걸 작품에 반영하고,그러다 보니 자연스러운 연기가 나오는 것 같아요. "

정해진 연출 기법은 따로 없다고 한다. "제 작품이 조금 다르다면 그건 정규교육과 문학수업을 받지 않고 현장에서 지냈기 때문일 거예요. 개막을 1주일 앞두고 아직도 결말을 구상 중인 연출이 또 있을까요. "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