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신공항 선정이 백지화되면서 주요 현안마다 방향을 갈랐던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입'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전 대표는 미디어법 논란,세종시 수정안 추진 등 폭발성 있는 현안마다 정부와 다른 입장을 내놨다. 그때마다 문제의 진행 방향과 결과가 크게 달라졌다. '박근혜의 존재'를 실감케 했다. 특히 신공항 문제는 박 전 대표의 정치적 기반인 영남권에서 생긴 문제로 자칫 영남권이 갈라질 수도 있는 민감한 현안이라는 점에서 박 전 대표의 행보에 더 관심이 쏠리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31일 대구방문 때 신공항에 대한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대표는 지난달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에 대해 "신공항 문제도 대선공약이니 정부에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고,작년 7월에는 특정 지명을 언급하지 않은 채 영남권 5개 시 · 도가 이용할 수 있고 대구 국가산업단지가 성공할 수 있는 위치에 국제공항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상당수 친박계 의원들은 세종시 문제처럼 신공항 문제도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정부와 여당의 신뢰문제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백지화에 대해 유감표명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 의원은 "현 정권이 계속 공약을 어기면 이는 다음 대선에 분명히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는 박 전 대표가 늘 강조하는 신뢰라는 문제와 극명히 대치되는 것이며 대권행보를 하고 있는 박 전 대표에게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 경북을 기반으로 두고 있는 친박계 의원들은 더 나아가 영남 민심 수습 차원에서 신공항 문제를 차기 대선공약으로 재추진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친박계 의원은 작년 8월 청와대 회동을 계기로 조성된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의 '협력모드'가 박 전 대표의 대응으로 '대립모드'로 돌아가면 향후 대권가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발언을 자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