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민감도 높아지는 구간…업종별 차별화 예상"-우리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지수가 대외 악재에 대한 내성과 글로벌 증시 상승에 힘입어 'V자 반등'을 지속하고 있다.
뚜렷한 조정 없이 단기간 200포인트 이상 급등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업종별, 종목별 순환매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국내 증시의 또 다른 특징이다.
우리투자증권은 31일 실적 시즌이 가까워짐에 따라 이익 모멘텀(상승 동력) 개선 여부에 의해 업종별 차별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증권사 송경근 연구원은 "실제로 최근 업종별 수익률은 이익 모멘텀과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3월 넷째주 이후 주요 업종의 평균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한달간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조정된 업종의 평균수익률은 5.5%에 달했지만 하향조정된 업종의 평균수익률은 2.4%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송 연구원은 "이달 중순 이후 국내기업들의 1분기 실적전망 하향 조정세가 진정되고 있고 2분기 이후에도 상향조정되
는 업종이 늘고 있다"며 "향후 이익 모멘텀 개선여부에 따른 수익률 차별화 양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분기 이익 모멘텀이 강한 업종 중 2분기 이후에도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조정되고 있는 업종은 에너지와 제약, 화학 업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철강금속과 은행, IT(전기전자) 업종은 1분기 이익 모멘텀이 약하지만 2분기 실적은 상향 조정되고 있어 조정시 저가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송 연구원은 조언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
뚜렷한 조정 없이 단기간 200포인트 이상 급등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업종별, 종목별 순환매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국내 증시의 또 다른 특징이다.
우리투자증권은 31일 실적 시즌이 가까워짐에 따라 이익 모멘텀(상승 동력) 개선 여부에 의해 업종별 차별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증권사 송경근 연구원은 "실제로 최근 업종별 수익률은 이익 모멘텀과 상당히 밀접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3월 넷째주 이후 주요 업종의 평균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한달간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조정된 업종의 평균수익률은 5.5%에 달했지만 하향조정된 업종의 평균수익률은 2.4%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송 연구원은 "이달 중순 이후 국내기업들의 1분기 실적전망 하향 조정세가 진정되고 있고 2분기 이후에도 상향조정되
는 업종이 늘고 있다"며 "향후 이익 모멘텀 개선여부에 따른 수익률 차별화 양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분기 이익 모멘텀이 강한 업종 중 2분기 이후에도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조정되고 있는 업종은 에너지와 제약, 화학 업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철강금속과 은행, IT(전기전자) 업종은 1분기 이익 모멘텀이 약하지만 2분기 실적은 상향 조정되고 있어 조정시 저가매수하는 것이 좋다고 송 연구원은 조언했다.
한경닷컴 김효진 기자 jin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