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아이가 둘 있는 맞벌이 가정이 기본적인 수준의 경제생활을 하려면 연간 6만7천920달러를 벌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혼자 벌어서 먹고 사는 단독가구 근로자의 경우 연간 3만12달러, 혼자 벌면서 아이 둘을 데리고 사는 3인 가족의 경우 연간 5만7천756달러를 벌어야 한다.

여성단체 '와이더 오퍼튜니티스 포 우먼'은 1995년부터 각 주와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협력단체들과 함께 이 조사를 시작, 그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일 보도했다.

단순한 생존을 위한 최저생계비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고 먹고사는데 수지를 맞추려면 얼마가 필요한지를 따져보기 위한 것이었다.

은퇴 이후의 생계나 긴급한 경우에 대비한 일부 저축액도 감안해 한 가정이 경제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계산했다.

그 결과 단독근로자의 경우 연간 3만 달러 가량, 시간당 14달러를 조금 넘게 벌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정부가 제시한 1인 빈곤선 1만830달러의 거의 세 배에 육박하며 연방 최저임금 기준인 시간당 7.25달러의 두 배에 달한다.

어린 자녀 2명을 부양하는 외벌이 근로자의 경우 연간 5만7천여 달러, 시간당으로 따지면 27달러 넘게 벌어야 한다.

아이 2명에 맞벌이인 경우는 보육에 비용이 더 들기 때문에 연간 6만8천 달러 가까이 벌어야 한다.

시간당으로는 근로자 1인당 16달러는 되어야 한다.

4인가족에 대해 정부가 제시하는 빈곤기준선은 연간 2만2천50달러다.

최근 정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9년 현재 미국인의 14%가 빈곤선 이하의 소득으로 살고 있다.

정부의 빈곤선 기준과 이번에 공개된 조사결과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자녀 교육비와 거주비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자녀들을 대학에 진학시키기 위한 저축금액과 집을 구입했을 때의 대출원리금 상환액 등도 포함시켰다.

이번 조사에 관여한 워싱턴대 마이클 쉐라든 사회개발센터 소장은 "미국인들이 중산층에 막 진입하려면 어느 정도의 수입이 필요한지를 묻는 조사였다"면서 "자녀들을 교육시키고 비상시에 대비해 최소한의 보장장치를 마련하는 수준의 소득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조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미국 전역에서 실질 생계비를 조사했다.

거주비의 경우 대도시 인근 지역에서 대도시로 출퇴근하는 것을 상정해 평균을 냈고 소형 승용차를 보유한 것으로 계산했다.

(뉴욕연합뉴스) 주종국 특파원 sat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