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이 연중기획으로 펼치고 있는 '스트롱 코리아 2011'에 대한 각계의 반응이 뜨겁다. '과학기술 드림팀'으로 불려도 손색 없는 자문위원들은 최근 스트롱코리아 발대식에서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해선 과학기술 인재 육성밖에 없다"며 캠페인 취지에 적극 공감했다. 독자들도 한경닷컴 홈페이지에 응원과 함께 애정어린 충고와 조언을 올리고 있다.

독자 A씨는 구한말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들어 스트롱 코리아 기획을 응원했다. 이 독자는 "한말의 치욕과 망국은 조선의 사농공상(士農工商) 가치체계로 기술인들이 대우받지 못해 과학기술이 발전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며 "지금과 같이 이공계가 쇠퇴하고 인재들이 한쪽으로 몰린다면 망국의 역사는 되풀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B씨는 노동시장의 왜곡된 구조를 확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올렸다. 이 독자는 "비슷하게 어려운 공부를 하지만 명예 돈 안정성 등에 있어 엔지니어나 연구원은 의사 변호사 판 · 검사 기업임원 등에 비해 열위에 있다"며 "애국심에 호소해 이공계 인력 양성을 운운하는 것은 난센스"라고 지적했다.

C씨 역시 "열심히 공부한 죄밖에 없는데 '공돌이'라고 희화화되고 밤낮없이 일하는 게 현실인데 누가 이 길로 가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한 독자는 "관련법 등 실질적인 변화가 꼭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공계 기피) 문제는 절대 해결 안 된다"고 주장했다.

독자들의 의견은 다양했지만,공통점은 '사회적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데 모아졌다. 스트롱 코리아 자문위원들의 의견도 마찬가지였다. 과학기술이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되도록 해야 한다는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의 '매력론'이나,재미가 있고 보상이 좋으면 시키지 않아도 하게 된다는 김신배 SK 부회장의 '동기론' 등이 그렇다.

과학기술사(史)를 보면 프랑스 독일 영국 등은 격변기였던 18~19세기에 과학기술인들을 특별히 우대해 강국으로 올라섰다. 과학기술인을 우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실질적인' 보상 시스템을 정립하면 유능한 인재들은 자연스럽게 유입된다는 것을 역사는 말해준다. '스트롱 코리아'를 달성하기 위한 해답 역시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해성 중기과학부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