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교내에 혁신비상위원회를 설치,학생들의 잇따른 자살로 야기된 위기 극복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서남표 총장은 13일 교수협의회의 혁신비상위 설치를 수용, 교수협의 요구를 조건없이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혁신위는 부총장 3명을 포함해 총장이 지명하는 5명,교수협이 지명하는 평교수 5명,학생 대표 3명으로 구성된다. 3개월(필요 시 1개월 연장) 동안 학교 전반에 관한 사항을 논의한 뒤 보고서를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총장은 위원회의 결정을 반드시 수용하고 즉시 실행해야 한다.

서 총장은 "결론이 어떻든 학교가 나아갈 방향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거취에 대해 "(벌여 놓은 개혁을) 정리하고 떠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며 "적당히 해놓고 떠나는 것은 안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이어 "관사에 의자가 없어 아침을 서서 먹는다. 의자를 사면 정이 들어 못 떠날까봐 그런다. 그만큼 언제든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대준 부총장은 "KAIST 개혁의 후퇴나 포기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라 다양한 배경의 학생이 입학하는 만큼 맞춤식 교육 등의 개선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야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은 전날에 이어 서 총장의 용퇴를 거듭 촉구했다. 이날 열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서 총장 해임촉구 결의안을 제출했다. 결의안에는 같은 당 안민석 · 김상희 · 김유정 · 김춘진 의원과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유성엽 무소속 의원이 서명했다.

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