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우유-중소업체 '목장 쟁탈전' 점입가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트랙터로 목장 봉쇄 등 갈등
연세·건국, 농림부에 대책 호소
서울우유 "자발적으로 오는 것"
연세·건국, 농림부에 대책 호소
서울우유 "자발적으로 오는 것"
구제역 파동으로 원유 생산량이 줄면서 우유업체 사이에 목장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와 연세우유는 지난 16일 경기 화성의 한 젖소농가 입구에서 물리적 충돌 직전의 갈등을 빚었다. 연세우유 직원들이 목장 입구를 한때 트랙터로 봉쇄하고 서울우유 집유차의 출입을 막은 것.14년 동안 연세우유에 원유를 공급해온 이 목장이 이날 새벽 생산분부터 서울우유로 거래처를 바꿨기 때문이다. 연세우유 관계자는 "오랜 기간 정성껏 관리해 온 목장이 한순간에 넘어가니 허탈하고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중소 우유업체들은 구제역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서울우유가 손쉽게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목장 빼앗기'에 나섰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유가공협회는 "서울우유가 연세우유와 건국유업의 집유선을 침해하고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막아줄 것을 호소하는 공문을 지난주 농림수산식품부에 보냈다. 건국유업&햄 관계자는 "소속 목장 50여곳 가운데 일부가 최근 '더 좋은 조건'을 제시받고 납품처를 옮기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목장의 원유 공급가격은 낙농진흥회에서 일률적으로 책정하고 있지만,우유 시장점유율 35% 선인 서울우유는 최근 조합원 가입 문턱을 낮추는 등의 혜택을 앞세워 목장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젖소 3만7000마리 중 서울우유 소속 목장 젖소가 2만3000마리에 달했다. 그 결과 서울우유의 하루 평균 우유 생산량은 필요량보다 350t 부족한 1550t까지 떨어졌다.
서울우유발(發) 목장 쟁탈전이 가시화되면서 업체들은 소속 목장의 이탈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구제역 피해 농가에 총 20억원을 현금으로 지급한 데 이어 회사 소속 수의사들을 목장으로 파견해 농가의 목장 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건국유업&햄 직원들도 소속 목장을 돌면서 목장주들의 경영 애로사항을 듣는 등 스킨십을 늘리고 있다.
서울우유 측은 "자연스럽게 농가가 서울우유로 들어오는 것이지 빼앗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도 "원래 매년 목장 20~30곳이 거래처를 바꾼다"며 직접 개입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1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와 연세우유는 지난 16일 경기 화성의 한 젖소농가 입구에서 물리적 충돌 직전의 갈등을 빚었다. 연세우유 직원들이 목장 입구를 한때 트랙터로 봉쇄하고 서울우유 집유차의 출입을 막은 것.14년 동안 연세우유에 원유를 공급해온 이 목장이 이날 새벽 생산분부터 서울우유로 거래처를 바꿨기 때문이다. 연세우유 관계자는 "오랜 기간 정성껏 관리해 온 목장이 한순간에 넘어가니 허탈하고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중소 우유업체들은 구제역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서울우유가 손쉽게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목장 빼앗기'에 나섰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유가공협회는 "서울우유가 연세우유와 건국유업의 집유선을 침해하고 있다"며 정부가 나서서 막아줄 것을 호소하는 공문을 지난주 농림수산식품부에 보냈다. 건국유업&햄 관계자는 "소속 목장 50여곳 가운데 일부가 최근 '더 좋은 조건'을 제시받고 납품처를 옮기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목장의 원유 공급가격은 낙농진흥회에서 일률적으로 책정하고 있지만,우유 시장점유율 35% 선인 서울우유는 최근 조합원 가입 문턱을 낮추는 등의 혜택을 앞세워 목장 확보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젖소 3만7000마리 중 서울우유 소속 목장 젖소가 2만3000마리에 달했다. 그 결과 서울우유의 하루 평균 우유 생산량은 필요량보다 350t 부족한 1550t까지 떨어졌다.
서울우유발(發) 목장 쟁탈전이 가시화되면서 업체들은 소속 목장의 이탈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구제역 피해 농가에 총 20억원을 현금으로 지급한 데 이어 회사 소속 수의사들을 목장으로 파견해 농가의 목장 관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건국유업&햄 직원들도 소속 목장을 돌면서 목장주들의 경영 애로사항을 듣는 등 스킨십을 늘리고 있다.
서울우유 측은 "자연스럽게 농가가 서울우유로 들어오는 것이지 빼앗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도 "원래 매년 목장 20~30곳이 거래처를 바꾼다"며 직접 개입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