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Biz School] 복잡한 내용의 정보라도 재무제표서 제외하면 안 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태식 회계사와 함께 하는 재무제표 분석 여행 (2)
필자에게는 학창시절 윤리시간에 서양의 유명한 철학자와 그들의 사상을 몇 마디로 정리한 것을 암기하고,문제를 맞힌 게 철학 공부의 거의 전부였습니다. 그러던 차에 접한 마이클 샌들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란 강연은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철학자의 근본적인 고민은 무엇인가? 당신은 이런 상황을 그들의 사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수없이 많은 문답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하려는 샌들 교수의 교수법도 인상적이었지만,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자세였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누가 재무제표가 뭐냐고 묻는다면 필자는 '경영자의 철학이 숫자로 표현된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경영자의 철학이 사업의 목적이라고 본다면,이를 숫자로 표현한 것이 재무제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일정한 틀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것을 일명 '재무제표의 개념체계'라고 합니다. 이것은 재무제표의 정의,재무제표 이용자,재무제표의 목적 등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재무제표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자세가 중요하겠죠.국제회계기준(IFRS)의 '재무제표 개념체계'에서는 '이용자는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며,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노력도 없이 재무제표(경영자의 철학)를 이해하겠다는 것은 우물에서 숭늉 찾는 격입니다. 아래 예제는 '재무제표 개념체계'에 대한 것입니다.
문제
재무제표 개념체계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타당한 것은?
①이해가능성은 이용자가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이 없이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을 말한다.
②복잡한 내용의 정보가 일부 이용자에게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어렵다면 그 내용을 제외할 수 있다.
③목적 적합한 정보란 이용자가 과거,현재 또는 미래의 사건을 평가하거나 과거의 평가를 확인 또는 수정하도록 도와주어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말한다.
④정보 자체가 명백한 예측의 형태를 갖춰야 예측가치를 지니게 된다.
해설
①이해가능성은 이용자가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며,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②복잡한 내용의 정보이지만 다수 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 목적에 적합해 재무제표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경우,단지 그 정보가 일부 이용자에게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제외해서는 안된다.
④정보 자체가 명백한 예측의 형태를 갖춰야만 예측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정답>③
재무제표는 일정한 틀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것을 일명 '재무제표의 개념체계'라고 합니다. 이것은 재무제표의 정의,재무제표 이용자,재무제표의 목적 등 재무제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재무제표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자세가 중요하겠죠.국제회계기준(IFRS)의 '재무제표 개념체계'에서는 '이용자는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며,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노력도 없이 재무제표(경영자의 철학)를 이해하겠다는 것은 우물에서 숭늉 찾는 격입니다. 아래 예제는 '재무제표 개념체계'에 대한 것입니다.
문제
재무제표 개념체계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타당한 것은?
①이해가능성은 이용자가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이 없이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을 말한다.
②복잡한 내용의 정보가 일부 이용자에게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어렵다면 그 내용을 제외할 수 있다.
③목적 적합한 정보란 이용자가 과거,현재 또는 미래의 사건을 평가하거나 과거의 평가를 확인 또는 수정하도록 도와주어 경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말한다.
④정보 자체가 명백한 예측의 형태를 갖춰야 예측가치를 지니게 된다.
해설
①이해가능성은 이용자가 경영 및 경제활동과 회계에 대한 합리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며,관련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의지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②복잡한 내용의 정보이지만 다수 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 목적에 적합해 재무제표에 포함될 필요가 있는 경우,단지 그 정보가 일부 이용자에게는 너무 어려워서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만으로 제외해서는 안된다.
④정보 자체가 명백한 예측의 형태를 갖춰야만 예측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정답>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