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이 삼부토건 및 동양건설산업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 철회를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견해차가 워낙 커 조속한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삼부토건은 채권단의 요구 사항인 르네상스서울호텔의 담보 제공엔 응할 수 있지만 제가격을 받아야 하며 동양건설에 대한 연대보증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추가 담보 제공 요구를 받고 있는 동양건설은 그럴 여력이 없다고 밝혀 협상에 난항이 빚어지고 있다.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은 절반씩 인수 약정을 맺은 4500억원 규모 '서울 내곡동 헌인마을' 개발사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만기가 최근 도래하자 채권은행들과 만기 연장 등을 놓고 협의하다 지난주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18일 삼부토건 관계자는 "채권단에 르네상스서울호텔을 담보로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법정관리 철회에 무게를 두고 협상을 계속한다는 데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법원도 삼부토건에 대한 법정관리 인가 여부 결정을 오는 25~26일까지 일주일가량 미루기로 하고 양측의 협상 결과를 지켜보기로 했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르네상스서울호텔의 담보 가치를 얼마나 인정할 것인가 등을 놓고 채권단과 계속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법정관리 철회 방안을 찾아보자는 대전제 속에 협상을 하고 있는 만큼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채권단은 호텔을 담보로 6000억~7000억원 안팎을 대출해 줄 수 있다는 입장인 반면 삼부는 최소한 8000억~9000억원은 돼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르네상스서울호텔을 헌인마을 공동 사업자인 동양건설의 담보로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는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삼부토건 관계자는 "르네상스서울호텔 담보가액이 합의될 경우 김포 풍무지구나 카자흐스탄 주택사업 등 나머지 PF 대출 자금 일부를 상환할 수도 있다"며 "다만 르네상스서울호텔 담보 제공을 헌인마을 PF 대출 가운데 동양건설 채무의 보증이나 만기 연장 등과 연계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추가 담보로 제시할 어떤 가용 재원도 없는 동양건설은 일단 대주단과 협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동양건설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법정관리 신청 취하 여부를 결정할 단계는 아니다"면서도 "주관사인 우리은행 등 대주단과 협의해 최선책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삼부토건이 채권단과 1 대 1 협상을 진행하면서 동양건설과의 연대보증 등 논란이 되는 부분을 제외시키고 있어서 동양건설의 법정관리 철회 가능 여부는 다음주나 늦으면 이달 말쯤 논의될 전망이다.

강황식/안대규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