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수급 좋고 실적 좋고…"주도株 들고 가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지수는 22일 전날 탄탄한 상승세를 보였던 화학, 전기전자 업종이 반락하면서 소폭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실적 기대감과 양호한 수급 흐름 등으로 증시 상승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주도주, 장기적으로는 내수주 등 덜 오른 업종에 관심을 둘 것"을 조언했다.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기업의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와 시장이 안도하고 있다"며 "외국인, 개인 매수세도 탄탄하게 유입되고 있어 상승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944억원치, 개인은 334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도 "미국 다우지수가 21일(현지시간) 연중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상승장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코스피 지수의 추가 상승에 무게를 뒀다. 증시가 상승세로 한번 가닥을 잡으면 투자 심리가 개선돼 더 강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또 "다음주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 등 주요 경제 이벤트가 예정돼 있으나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시장은 이번 FOMC에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오는 6월 말에 종료될 예정인 2차 양적완화에 대해 의견을 표명할 지에 주목하고 있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은 FOMC 종료 후 FRB 역사상 처음으로 정식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김 팀장은 "양적완화 종료시까지는 아직 두 달이나 남았다"며 "이번 FOMC에서 양적완화에 대해 강한게 의견을 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버냉키 의장의 기자회견에 대해서는 "내용을 예측하긴 힘들지만 연준이 시장과 소통하려고 노력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미국의 1분기 GDP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3%대에서 2% 중반(연율)까지 낮아졌으나 2분기에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고 있어 투자심리를 해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 연구원도 "2분기에는 중국의 긴축 기조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국 경제 회복세가 둔화더라도 증시는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는 화학, 자동차, 정보기술(IT) 등 주도주, 장기적으로는 내수주 등 소외 업종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배 연구원은 "시장에 유동성이 확대되면 그동안 상승장에서 소외된 업종이 키 맞추기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주도주를 계속 들고가되 기타 업종에도 관심을 둘 것"을 권했다.
김 팀장은 "5월 중순에 코스피지수가 2300대까지 오르면 상승장이 지속될 것이란 신뢰가 확산되면서 수급이 개선, 주도주가 수출주에서 내수주로 바뀔 수 있다"며 "5월 중순을 기점으로 투자 전략을 다시 살필 것"을 조언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기업의 실적이 예상보다 잘 나와 시장이 안도하고 있다"며 "외국인, 개인 매수세도 탄탄하게 유입되고 있어 상승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944억원치, 개인은 334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도 "미국 다우지수가 21일(현지시간) 연중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상승장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코스피 지수의 추가 상승에 무게를 뒀다. 증시가 상승세로 한번 가닥을 잡으면 투자 심리가 개선돼 더 강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또 "다음주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1분기 국내총생산(GDP) 발표 등 주요 경제 이벤트가 예정돼 있으나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이라고 판단했다.
시장은 이번 FOMC에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오는 6월 말에 종료될 예정인 2차 양적완화에 대해 의견을 표명할 지에 주목하고 있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은 FOMC 종료 후 FRB 역사상 처음으로 정식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김 팀장은 "양적완화 종료시까지는 아직 두 달이나 남았다"며 "이번 FOMC에서 양적완화에 대해 강한게 의견을 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했다. 버냉키 의장의 기자회견에 대해서는 "내용을 예측하긴 힘들지만 연준이 시장과 소통하려고 노력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미국의 1분기 GDP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3%대에서 2% 중반(연율)까지 낮아졌으나 2분기에 4%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고 있어 투자심리를 해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 연구원도 "2분기에는 중국의 긴축 기조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미국 경제 회복세가 둔화더라도 증시는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는 화학, 자동차, 정보기술(IT) 등 주도주, 장기적으로는 내수주 등 소외 업종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배 연구원은 "시장에 유동성이 확대되면 그동안 상승장에서 소외된 업종이 키 맞추기를 할 가능성이 크다"며 "주도주를 계속 들고가되 기타 업종에도 관심을 둘 것"을 권했다.
김 팀장은 "5월 중순에 코스피지수가 2300대까지 오르면 상승장이 지속될 것이란 신뢰가 확산되면서 수급이 개선, 주도주가 수출주에서 내수주로 바뀔 수 있다"며 "5월 중순을 기점으로 투자 전략을 다시 살필 것"을 조언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