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서 새는 위치정보…알면서도 '찜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치 알려줘야 서비스 이용
사용자 동의 받아 정보수집…암호화 않고 저장되는게 문제
타인이 악용땐 사생활 침해…규제땐 산업 위축 '동전 양면'
사용자 동의 받아 정보수집…암호화 않고 저장되는게 문제
타인이 악용땐 사생활 침해…규제땐 산업 위축 '동전 양면'
애플이 아이폰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추적해 암호화하지 않은 채 폰에 저장한다고 밝혀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도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해 저장한다고 22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애플과 구글의 위치정보 수집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과연 문제는 없을까.
위치정보 문제는 지난 20일 미국 보안전문가들이 아이폰에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아이튠즈와 동기화할 때 컴퓨터에도 저장된다고 발표하면서 불거졌다. 문제는 암호화하지 않은 채 파일(consolidated.db)로 저장돼 남의 손에 넘어갈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아이폰 사용자의 이동경로까지 지도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애플이 아이폰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는 사실은 새로운 게 아니다. 애플은 지난해 의회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과 이유를 설명한 바 있다. 애플은 아이폰 사용자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설정에서 위치정보 제공을 허용(on)할 때만 인근 기지국 정보,와이파이 접점 정보 등을 수집한다고 밝혔다.
애플의 설명은 이렇다. △아이폰에 저장된 위치정보를 12시간 단위로 데이터베이스로 가져간다. △이 정보는 우리(애플)만 접근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아이폰 사용자가 위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신속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애플은 구글을 통해 위치정보를 받다가 운영체제 iOS 4.0부터 자체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이번에 드러난 문제는 위치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채 아이폰과 컴퓨터에 저장해 누구든지 맘만 먹으면 이 정보를 손에 넣을 수 있다는 점이다. 아이폰을 분실하거나 악질 해커가 폰에 침입해 위치정보 파일을 훔쳐볼 경우 아이폰 사용자가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위치정보를 10개월이나 폰에 저장해둘 이유가 없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코리아 측에 아이폰에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이 위치정보법을 위반하는지 해명하고 보도된 내용에 대해서도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애플이 어떤 의도로 아이폰에 위치정보가 저장되게 했는지,식별 가능한 개인정보를 따로 저장하는지 알아보고 위법사항이 있으면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위치정보 비즈니스는 스마트폰이 널리 확산되면서 유망 산업으로 뜨고 있다. 위치정보를 활용해 인근 부동산 시세를 알려준다든지,사람을 찾는다든지,인근 맛집이나 카드 가맹점을 알려주는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가트너는 위치정보 사업이 올해 29억달러,2014년 83억달러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스마트폰 위치정보 문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내버려두면 악용될 소지가 크다. 정보당국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움켜쥐면 '빅 브러더'가 될 수도 있다. 누군가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수집해 악용할 가능성도 있다. 위치정보 활용에 대해서는 누군가 엄격하게 감시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스마트폰 위치정보 규제를 지나치게 강화하면 관련 비즈니스가 위축되고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편의를 저해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순간 위치정보 문제는 생기게 마련"이라며 "이를 좋은 쪽으로 활용하고 나쁜 쪽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광현 IT전문기자 k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