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지진 후 '충동구매' 줄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입소스 공동 조사
소비패턴 '계획형 구매'로
소비패턴 '계획형 구매'로
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시장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이 가격을 크게 고려하지 않고 충동적으로 제품을 사는'세일 헌터(sale hunter)형'에서 '합리적 계획소비형'으로 급격히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입소스와 한국경제신문이 함께 조사 · 분석한 '일본 소비자 전망'에 따르면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가 지진 발생 전 17%에서 32%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는 고정예산 내에서 지출을 하며 가격 변화에 민감하고,온라인 구매에 적극적인 특성을 지녔다.
지난달 21~22일 일본 전역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충동구매 위주의 '세일 헌터형' 소비자는 지진 발생 전 21%에서 6%로 급감했다. 브랜드를 지출의 최우선 가치로 삼는 '브랜드 선호형' 소비자도 37%에서 33%로 줄었다. 신상품 위주 구매를 하며 자기 자신만의 소비 기준을 우선시하는 '자기 가치 우선형' 역시 20%에서 15%로 줄었다.
반면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가 두 배로 늘었다. 제품 구매 전 목록을 작성하고,꼼꼼히 비교한 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소비 형태가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최저가 판매를 최우선 구입 요건으로 삼는 '가격 고려형'도 15%로 지진 전후 비율 변화가 없었다. 특히 일본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 변화는 도쿄를 비롯해 오사카 고베 교토 등 지진 피해 지역과 거리가 먼 간사이 지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입소스 관계자는 "일본 강진 이후 일본 소비자들이 소비재 쇼핑에서 이전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24일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입소스와 한국경제신문이 함께 조사 · 분석한 '일본 소비자 전망'에 따르면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가 지진 발생 전 17%에서 32%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는 고정예산 내에서 지출을 하며 가격 변화에 민감하고,온라인 구매에 적극적인 특성을 지녔다.
지난달 21~22일 일본 전역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충동구매 위주의 '세일 헌터형' 소비자는 지진 발생 전 21%에서 6%로 급감했다. 브랜드를 지출의 최우선 가치로 삼는 '브랜드 선호형' 소비자도 37%에서 33%로 줄었다. 신상품 위주 구매를 하며 자기 자신만의 소비 기준을 우선시하는 '자기 가치 우선형' 역시 20%에서 15%로 줄었다.
반면 '합리적 계획형' 소비자가 두 배로 늘었다. 제품 구매 전 목록을 작성하고,꼼꼼히 비교한 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소비 형태가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최저가 판매를 최우선 구입 요건으로 삼는 '가격 고려형'도 15%로 지진 전후 비율 변화가 없었다. 특히 일본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 변화는 도쿄를 비롯해 오사카 고베 교토 등 지진 피해 지역과 거리가 먼 간사이 지역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입소스 관계자는 "일본 강진 이후 일본 소비자들이 소비재 쇼핑에서 이전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