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대도시의 오피스 빌딩과 매장용 빌딩의 투자수익률이 2분기 연속 상승했다.

국토해양부는 서울과 6대 광역시,경기도 수원 · 성남 · 안양 · 고양지역 오피스 빌딩 1000동과 매장용 빌딩 2000동을 대상으로 1분기 투자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오피스 빌딩은 1.88%,매장용 빌딩은 1.87%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직전 분기에 비해 오피스 빌딩은 0.57%포인트,매장용 빌딩은 0.25%포인트 각각 올랐다. 국토부는 경기 회복으로 공실률이 낮아지고 상업용 빌딩 가격이 올라 투자수익률도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오피스 빌딩 수익률은 서울이 0.6%포인트 오른 2.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성남(2.03%) 수원(1.84%) 등이 뒤를 이었다. 매장용은 인천 2.1%,서울 1.97%,안양 1.96% 등의 순이었다.

공실률은 오피스 빌딩이 평균 8.1%로 전분기 대비 0.5%포인트,매장용 빌딩이 9%로 0.6%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지역별 공실률은 서울이 5.6%로 가장 낮았고 성남(7.1%) 수원(7.6%) 대구(8.5%) 등의 순이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2분기,매장용은 2009년 1분기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피스 빌딩 임대료(월세 기준)는 ㎡당 평균 1만5000원으로 전분기와 같았다. 서울이 ㎡당 2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대전은 5200원으로 가장 낮았다. 매장용 빌딩 임대료는 평균 4만2200원으로 전분기보다 200원 올랐다. 서울이 ㎡당 6만3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이 1만7000원으로 최저였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