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이명박 대통령과 경제 5단체장의 회동을 계기로 초과 이익공유제와 연기금 주주권 행사를 둘러싼 불필요한 논쟁을 끝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대통령이 친시장 정책기조가 변함 없음을 강조하고 "개인들이 불쑥불쑥 나서 시장에 혼선을 줘선 안된다"며 기업경영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는 반(反)기업적 정책 방안을 주장해온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을 질타한 대목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8 · 15 경축사에서 이 대통령이 공정사회론을 제기한 뒤 불거진 정부와 대기업,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갈등과 오해,반목이 말끔히 정리되는 자리가 돼야 할 것이라는 주문도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친시장, 친기업적 정책기조가 바뀐 게 없다는 메시지를 이 대통령이 분명히 해야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쏟아져 나올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적 기업 때리기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은 지금 기업과 기업 간 싸움이라기 보다는 국가 대항전 형태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정부도 공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기업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정책 불확실성이며 친기업과 반기업으로 나누는 이분법적인 인식"이라며 "3 · 27 재보선은 실현 가능성이 없는 포퓰리즘적 정책을 앞세운다고 해서 국민들이 결코 지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장 가격을 무리하게 통제할 뿐만 아니라 세무조사나 검찰수사를 한꺼번에 벌이고 정부 핵심 인사들은 앞다퉈 거친 발언을 쏟아내니 기업들이 이명박 정부의 정책 기조가 달라진 게 아니냐고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며 "동반성장과 투자 및 고용 확대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기업들을 이 대통령이 인정하고 격려하는 모임이 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