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 출시' K5 하이브리드 경쟁력 살펴보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가지 트림, 연비 21km/ℓ,가격 2925만~3195만원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판매 경쟁 예고
기아자동차의 중형 세단 'K5 하이브리드'가 이달부터 본격 판매된다. 이에 따라 시장에 함께 출시된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판매 경쟁을 놓고 한판 싸움을 펼칠 예정이다.
기아차는 2일부터 전국 영업점을 통해 K5 하이브리드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K5 하이브리드는 지난 서울모터쇼에서 친환경 그린카 부문 '베스트카'로 선정되는 등 출시 이전부터 관심을 끈 모델이다.
특히 기아차가 포르테 에코플러스에 이어 운전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회전제한장치(ISG)를 장착한 친환경 차량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K5 하이브리드는 디자인 등 상품성은 물론 경제성과 친환경성까지 고루 갖춘 프리미엄 중형 그린카"라며 "고유가 시대에 고객들에게 새로운 자동차 구매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5 하이브리드는 기아차가 독자 개발한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됐다. 하이브리드 전용 누우 2.0엔진과 6속 자동변속기, 30kW급 전기모터, 엔진클러치를 병렬로 연결, 엔진 출력 150마력에 전기모터 출력 41마력 등 총 191마력의 최고출력을 확보했다.
또한 정차시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ISG' 시스템과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에어 플랩, 제동 또는 감속시 발생 에너지를 회수해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제어 시스템 등을 적용했다.
연비는 자동변속기 기준으로 경차 수준을 뛰어넘는 21km/ℓ를 실현했다.
이를 통해 K5 하이브리드는 최근 환경부로부터 하이브리드 차량 최초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며 우수한 친환경성을 공인받았다.
K5 하이브리드(이산화탄소 배출량 18.0톤)는 지난해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K5 2.0 가솔린엔진 수동변속기(이산화탄소 배출량 24.6톤) 모델 대비 27%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했다.
이밖에 친환경 콘셉트의 하이브리드 전용 내외장 스타일을 적용해 차별화를 시도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에 새롭게 적용된 4.2인치 컬러 TFT-LCD 슈퍼비전 클러스터를 포함 △프로젝션 헤드램프 △LED포지션 램프 일체형 안개등 △LED 리어 콤비램프 △라디에이터 그릴 등이 새롭게 적용됐고 △연비 향상을 고려한 16~17인치 알루미늄 휠 △공력 개선을 위한 리어 스포일러 △하이브리드 전용 엠블럼 등 하이브리드 전용 편의사양을 갖췄다.
보행자 안전을 고려한 사양도 추가했다. 시속 20km/h 이하 저속 주행 시 전기모터로만 주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카 특성을 반영, 보행자의 차량 접근을 인지시켜주는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을 장착했다.
이외에 사이드&커튼 에어백과 차세대 차체제어장치(VSM), 급제동 경보시스템(ESS), 언덕길 밀림방지장치(HAC) 등도 기본사양으로 적용했다.
기아차는 K5 하이브리드에 들어가는 하이브리드 전용 부품에 대해선 무상 보증기간을 6년/12만km로 정하고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판매 가격은 트림(등급)별로 △럭셔리 2925만원 △프레스티지 3095만원 △노블레스 3195만원이다. 차값은 개별소비세와 교육세 최대감면 금액인 130만원의 세제 혜택이 반영됐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판매 경쟁 예고
기아자동차의 중형 세단 'K5 하이브리드'가 이달부터 본격 판매된다. 이에 따라 시장에 함께 출시된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판매 경쟁을 놓고 한판 싸움을 펼칠 예정이다.
기아차는 2일부터 전국 영업점을 통해 K5 하이브리드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K5 하이브리드는 지난 서울모터쇼에서 친환경 그린카 부문 '베스트카'로 선정되는 등 출시 이전부터 관심을 끈 모델이다.
특히 기아차가 포르테 에코플러스에 이어 운전 상태에 따라 엔진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회전제한장치(ISG)를 장착한 친환경 차량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K5 하이브리드는 디자인 등 상품성은 물론 경제성과 친환경성까지 고루 갖춘 프리미엄 중형 그린카"라며 "고유가 시대에 고객들에게 새로운 자동차 구매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5 하이브리드는 기아차가 독자 개발한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됐다. 하이브리드 전용 누우 2.0엔진과 6속 자동변속기, 30kW급 전기모터, 엔진클러치를 병렬로 연결, 엔진 출력 150마력에 전기모터 출력 41마력 등 총 191마력의 최고출력을 확보했다.
또한 정차시 엔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ISG' 시스템과 공기유입을 제어하는 에어 플랩, 제동 또는 감속시 발생 에너지를 회수해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제어 시스템 등을 적용했다.
연비는 자동변속기 기준으로 경차 수준을 뛰어넘는 21km/ℓ를 실현했다.
이를 통해 K5 하이브리드는 최근 환경부로부터 하이브리드 차량 최초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하며 우수한 친환경성을 공인받았다.
K5 하이브리드(이산화탄소 배출량 18.0톤)는 지난해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K5 2.0 가솔린엔진 수동변속기(이산화탄소 배출량 24.6톤) 모델 대비 27%의 탄소배출량을 감축했다.
이밖에 친환경 콘셉트의 하이브리드 전용 내외장 스타일을 적용해 차별화를 시도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에 새롭게 적용된 4.2인치 컬러 TFT-LCD 슈퍼비전 클러스터를 포함 △프로젝션 헤드램프 △LED포지션 램프 일체형 안개등 △LED 리어 콤비램프 △라디에이터 그릴 등이 새롭게 적용됐고 △연비 향상을 고려한 16~17인치 알루미늄 휠 △공력 개선을 위한 리어 스포일러 △하이브리드 전용 엠블럼 등 하이브리드 전용 편의사양을 갖췄다.
보행자 안전을 고려한 사양도 추가했다. 시속 20km/h 이하 저속 주행 시 전기모터로만 주행이 가능한 하이브리드카 특성을 반영, 보행자의 차량 접근을 인지시켜주는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을 장착했다.
이외에 사이드&커튼 에어백과 차세대 차체제어장치(VSM), 급제동 경보시스템(ESS), 언덕길 밀림방지장치(HAC) 등도 기본사양으로 적용했다.
기아차는 K5 하이브리드에 들어가는 하이브리드 전용 부품에 대해선 무상 보증기간을 6년/12만km로 정하고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판매 가격은 트림(등급)별로 △럭셔리 2925만원 △프레스티지 3095만원 △노블레스 3195만원이다. 차값은 개별소비세와 교육세 최대감면 금액인 130만원의 세제 혜택이 반영됐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