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스와프·선물환은 파생규제 적용 안 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재무부 방침
미국 재무부가 외환스와프와 선물환은 다른 파생상품과 달리 중앙 거래소와 청산소에서 거래와 청산이 이뤄지지 않아도 된다는 제안을 내놨다.
로이터통신은 재무부가 "기존의 외환스와프와 선물환 시장이 붕괴되면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고 지난달 30일 보도했다. 재무부는 다만 외환스와프와 선물환 거래를 의무적으로 보고하고 거래 규정은 준수하도록 했다. 최종 결정은 30일간의 여론 수렴을 거친 뒤 발표될 예정이다.
외환스와프와 선물환은 환율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활용되는 파생상품이다. 현재 600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외거래 파생상품 시장에서 이들의 계약 비중은 약 5%다. 지난해 미 의회에서 통과된 금융감독개혁법(도드-프랭크법)은 모든 장외거래 파생상품이 중앙 거래소와 청산소를 반드시 이용하도록 규정했다. 감독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무분별한 파생상품 거래가 금융위기를 초래한 주범 중 하나라는 판단에서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로이터통신은 재무부가 "기존의 외환스와프와 선물환 시장이 붕괴되면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며 이같이 제안했다고 지난달 30일 보도했다. 재무부는 다만 외환스와프와 선물환 거래를 의무적으로 보고하고 거래 규정은 준수하도록 했다. 최종 결정은 30일간의 여론 수렴을 거친 뒤 발표될 예정이다.
외환스와프와 선물환은 환율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활용되는 파생상품이다. 현재 600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외거래 파생상품 시장에서 이들의 계약 비중은 약 5%다. 지난해 미 의회에서 통과된 금융감독개혁법(도드-프랭크법)은 모든 장외거래 파생상품이 중앙 거래소와 청산소를 반드시 이용하도록 규정했다. 감독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무분별한 파생상품 거래가 금융위기를 초래한 주범 중 하나라는 판단에서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