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역에 임시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파 · 공유하고,창의적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소셜펀드를 활성화한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원하면 자신이 만든 콘텐츠가 파기 · 삭제되도록 보장하는 '잊혀질 권리' 개념을 도입하고,학생 · 교사 · 학부모가 긴밀하게 소통하고 자료를 공유하는 협력학습체계를 구축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소셜 플랫폼 기반의 소통 · 창의 · 신뢰 네트워크 사회 구현 전략'을 보고했다. 방통위는 소셜네트워크가 국가 ·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활용되도록 지원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등과 공동 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소셜 플랫폼 전략은 △국가 · 사회 소셜 커뮤니케이션 기반 강화 △소셜 이코노미 생태계 조성 △소셜 트러스트 기반의 이용환경 조성 등 3대 분야에 걸쳐 20여개 세부과제로 구성됐으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우선 소셜 커뮤니케이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소셜 플랫폼을 학습,헬스,재난대응,치안,민원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로 했다. 소셜 학습의 경우 학습 중심의 기존 e-러닝 시스템에 학습자 간 정보 공유,교육자와의 실시간 소통,협력학습 등이 가능하도록 소셜 기능을 적용하고 전문가 등을 소셜 학습 멘토로 활용할 계획이다.

신생기업 지원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참여형 소셜펀드도 육성하기로 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아이디어에 대해 소셜펀드 구성원들이 투자 여부와 규모를 직접 정하게 하고,소셜펀드에 대해 한시적 행정 · 재정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소셜 전문인력 데이터베이스와 소셜지원센터,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 등도 구축한다.

김광현 IT전문기자 kh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