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가 있는 골프장] 해슬리 나인브릿지, '열선 그린'에 티박스 냉난방까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말에도 1인·5인 플레이 가능
눈 오는 날에도 녹색 그린…비온 후 그린 건조장치 가동
전동카트 페어웨이 진입도
눈 오는 날에도 녹색 그린…비온 후 그린 건조장치 가동
전동카트 페어웨이 진입도
마스터스가 열리는 오거스타내셔널골프클럽의 그린 아래에는 첨단 시설이 깔려 있다. 응달진 부분의 잔디 생육을 돕기 위해 공기를 넣어주는 '서브-에어(sub-air)와 냉난방시설인 '하이드로닉스(hydronics) 시스템'이다. 하이드로닉스는 여름철에 그린을 시원하게 하고 겨울에는 언 그린을 녹여 볼이 튀지 않게 한다.
국내에서 이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곳은 경기도 여주의 '해슬리 나인브릿지'(18홀)다. 2009년 9월26일 문을 열어 두 번 겨울을 났지만 눈 오는 날에도 그린이 파랗다. 서브-에어는 여름에 많은 비가 와도 그린에 물이 차지 않게 하고 말려주는 기능도 갖췄다.
해슬리는 오거스타보다 한발 더 나아가 티잉그라운드에도 냉난방 시스템을 깔았다. 겨울철 티가 잘 꽂히지 않는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티박스와 그린에 냉난방 시스템을 설치한 골프장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설치비로만 50억원을 들였다.
해슬리는 해가 뜨는 마을이라는 '해승리'를 발음하기 편하게 바꾼 말이다. 코스는 제주 나인브릿지를 세계 100대 골프장에 올려놓은 데이비드 데일이 맡았다.
세계 명문 코스답게 별다른 코스 명칭 없이 전반은 아웃코스,후반은 인코스다. 초반 3개홀은 파4,파3,파5로 몸을 풀듯이 임하게 했지만 4번홀부터는 까다롭다. 그린 옆의 물과 벙커는 정확한 볼에만 온그린을 허용한다. 그린까지 가는 길이 길면 그린이 쉽고 가는 길이 짧으면 그린이 어렵게 조성돼 있다. 리듬을 타듯이 어려운 홀을 만나면 다음홀은 페어웨이와 그린을 한눈에 보여주며 달래준다.
인코스 10번홀은 페어웨이와 그린이 모두 물로 둘러싸인 아일랜드 스타일이다. 마지막 3개홀이 승부처다. 잘 치고 왔다가 여기서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16번홀의 '테이블 그린'은 공이 어디로 흐를지 예측불허다. 17번홀은 파3홀임에도 드라이버를 잡아야 한다.
18번홀의 그린은 두 개다. 어떤 회원이 왔느냐에 따라 핀을 달리한다. 좌측 그린이 더 어렵다. 18번홀 그린 앞에는 '19번홀 티박스'가 있다. 종종 회원들끼리 그날 남은 '스킨스'(홀당 상금)를 걸고 18번홀 우측 그린을 향해 '승부샷'을 한다.
여기서는 주말에도 1인 플레이를 할 수 있고 전동 카트의 페어웨이 진입도 허용한다. 1번홀로 향하기 전에 몸을 풀고 나갈 수 있도록 드라이빙 레인지를 조성해놨고 회원 전용 골프 아카데미도 있다.
여주=한은구 기자 to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