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6일 단행한 개각은 철저하게 임기 말 관리형,실무형 내각에 초점을 맞췄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를 제외하고 '이명박 사람'이라고 꼽을 만한 사람은 없다. 대부분 해당 부처 관료 출신이거나 전문가들이다. 임기 말 친정체제를 굳혀 나가리라는 예상은 빗나갔다.

임태희 대통령 실장은 "내각에 활력을 불어넣고 철저하게 일 중심으로 인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일을 벌여 왔다면 지금부터는 일을 마무리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는 얘기다. 임 실장은 "이제까지 추진해왔던 국정 과제에 대해 확실하게 점검을 하면서 실무적 능력을 중시했다"고 강조했다. 관리형으로 가는 마당에 굳이 대통령 측근 인사들을 기용해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 같다.

무엇보다 청문회 통과에 크게 신경을 쓴 것으로 알려졌다. 현 정부 들어 김태호 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낙마한 후보가 8명이나 됐기 때문이다. 정권 말 또다시 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후보가 나오게 되면 국정 운영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유영숙 환경부 장관 내정자만 내부 모의 청문회를 했고,나머지는 서면으로 대신해도 될 정도로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지역안배에도 중점을 뒀다. 새 장관 내정자 5명의 출신 지역은 경남,충북,강원,울산,경북 등 다양하다. 박재완 내정자가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어서 경제 문제만큼은 친정체제로 관리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나머지 내정자 모두 실무형 인사들이어서 역시 청와대의 컨트롤 타워 역할이 더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