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 등 원자력안전당국은 3월 말부터 1개월여에 걸친 국내 원전 안전 종합점검 결과 '문제 없음'으로 결론을 내렸다. 점검은 '지진→쓰나미 발생→전력 차단→대형 사고 발생'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전력 및 냉각계통 △중대사고 등 6개 분야 27개 항목별 안정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를 위해 대학교수 및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검사원 등 전문가 73명을 투입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상황을 그대로 가정해 백화점식 안전대책을 내놔 그동안 사고에 '무대책'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안전당국은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에 따른 예상 최고 해수위를 기준으로 모든 원전이 안전 여유고를 확보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 내진설계도 모두 충족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고리 1 · 2호기의 경우 해일에 대한 안전 여유고가 상대적으로 낮아 해안방벽을 현재 1.7m에서 4.2m 이상으로 높여 타 원전의 부지고(10~12m) 수준으로 증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비상전력계통과 사용후핵연료저장조 냉각계통 등 주요 안전설비의 침수 방지를 위해 2014년까지 전 원전에 방수문 및 방수형 배수펌프를 설치키로 했으며,발생 가능한 쓰나미에 대한 연구도 새로 진행하기로 했다.

예상치를 넘는 쓰나미로 원전부지가 침수되고 다수 호기에서 동시에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상황을 가정해 11건의 전력 · 냉각계통 개선사항도 마련됐다. 각 원전별로 인근 높은 부지에 차량장착 이동형 비상발전기 및 축전지를 1대씩 확보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사용후핵연료저장조 냉각계통 기능상실에 대비, 외부에서 냉각계통으로 소방수를 넣을 수 있는 연결부위를 새로 설치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비상디젤형 발전기 설계를 변경해 전기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당국은 원자로 내 모든 냉각기능이 상실돼 핵연료가 용융되는 최악의 상황을 전제로 6건의 개선사항을 마련했다. 특히 전 원전을 대상으로 수소폭발 방지용 최신 수소제거설비를 설치하는 동시에 격납고 압력의 상승을 막기 위한 배기 · 감압설비를 설치하기로 했다. 원자로 1 · 2차 계통에 비상 냉각수를 주입하는 외부 유로도 새로 설치할 예정이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