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재건축 아파트값 하락세가 주춤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에서는 하락폭이 크게 줄었으며 강남권에서는 서초구만 유일하게 올랐다. 9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4월 수도권 재건축 매매변동률은 전월(-0.57%)보다 0.24%포인트 오른 -0.33%를 기록했다. 서울은 -0.36%로 전월(-0.66%) 대비 0.30% 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강동구 -1.42%, 송파구 -0.77%, 강남구 -0.12%, 용산구 -0.55%, 영등포구 -0.04% 순으로 떨어졌고 서초구만 유일하게 0.15% 올랐다. 특히 송파구에서 낙폭이 가장 크게 줄었다. 송파구는 지난 3월 -2.14% 떨어지면서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하락을 견인했다. 하지만 개포지구단위계획안 통과 영향으로 잠실주공5단지, 가락시영 등에서 반짝 거래가 있었다. 잠실동 주공5단지 113㎡가 4천500만원 하락한 10억5천만~10억8천만원, 가락동 가락 시영1차 50㎡가 750만원 하락한 5억9천만~6억500만원이다. 4월 하락폭이 가장 큰 강동구는 금리인상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의 원상 복귀후 매수세가 눈에 띄게 줄었다. 3.22대책에 따른 취득세 인하 방침에도 불구하고 꽁꽁 얼어붙은 매수심리가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강남구는 4월 초 반짝 상승세를 보였던 재건축 매매가가 4월 중순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반등에 성공하지 못했다. 개포주공도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늘었으나 당분간 기다려보자는 수요자들이 많아 시세 회복세가 더딘 상황이다. 오는 6월 이주 예정인 청실아파트도 시세 상승 기대감이 줄면서 저렴한 매물에서도 거래가 힘들다. 반면 서초구는 강남권 가운데 유일하게 재건축 아파트값이 올랐다. 이는 한신1차 아파트 용적률 완화 결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당초 280% 이하에서 법정상한 용적률인 300%까지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집주인들은 매물을 회수하고 호가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가격 부담 때문에 매수자들이 섣불리 거래에 나서지 못하는 분위기다. 반포동 한신1차 106㎡가 1억원 상승한 21억~22억원이다. 한정연기자 jyha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