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1~2인 가구용 도시형 생활주택을 포함해 주택 3만가구를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본부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신규 공급물량과 멸실 추이를 감안하면 올해 3만여가구가 순증해야 한다"며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활성화 등을 통해 이 같은 목표치를 달성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9일 밝혔다.

김 본부장은 "2030년쯤이면 서울의 1~2인 가구가 44%에 이르고 가구 분화가 계속돼 전반적인 인구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주택 수는 더 많아져야 한다"며 "이런 추세를 볼 때 현재 주택 수가 320만가구 선인 서울에서 앞으로 70만~100만가구를 더 확보해야 할 상황"이라고 추정했다.

김 본부장은 "이 같은 수요를 충족하려면 앞으로 20년 동안 매년 최소한 3만~3만5000여가구를 공급해야 한다"면서 "아파트만 고집하지 않고 다가구 · 다세대주택,도시형 생활주택 등으로 주거 유형을 다양화해 부족한 주택 수요를 채워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말 '주택수급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2020년까지 10년간 서울시에 전용면적 50㎡ 이하의 소형주택을 매년 3만가구씩 총 30만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었다.

김 본부장은 최근 정치권 등에서 논란을 빚고 있는 뉴타운 개발 계획에 대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돼 철거민 양산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속도조절이 필요한 국면"이라고 말했다.

뉴타운 사업 활성화를 위해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정치권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뉴타운 사업이 과거 공익적 차원의 재개발 사업과 달리 재산가치 증식수단으로 활용되는 측면이 강하다"며 "서민 주거안정에 쓰여야 할 정부 기금을 특정 지역의 주민을 위해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