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여성 참여 확대 추진방안 보고

정부 내 설치된 각종 위원회에 여성의 참여 비율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여성가족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여성 참여 비율을 40%로 올린다는 목표를 담은 정부위원회 설치ㆍ운영 지침 등 '정부위원회 여성참여 확대 추진방안'을 보고했다.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 비율은 2000년대 들어 20%대 후반을 유지하다 2008년 정부 업무평가에서 여성 참여비율 평가가 제외되면서 하락해 지난해 말 기준 375개 위원회의 위촉직 위원 8천875명 가운데 여성은 1천983명으로 22.3%에 그쳤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 실적을 정부업무 평가 지표에 다시 반영하도록 했다.

여성가족부는 또 국가인재 데이터베이스(DB)에 수록된 여성 비율을 내년까지 20%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여성인재 후보군을 적극적으로 발굴, 각 기관에서 여성 인물 정보를 분야별로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가인재 DB 수록 인원은 19만283명이며 이 가운데 여성 비율은 12.6%인 2만3천980명이다.

아울러 정부위원회 성별 참여 현황을 매년 공포하고 개선 권고조항을 마련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 여성발전기본법 개정안도 마련된다.

여성가족부는 또 여성이 정부위원회에 우선적으로 위촉될 수 있도록 임기가 끝나는 위원의 자리에 여성 후보자를 우선 추천할 예정이다.

정부는 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및 관계기관이 함께 하는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태스크포스'를 구성, 정부위원회 여성참여 확대 외에도 관리직ㆍ고위직 여성공무원 확대, 공공기관 여성임원 확대, 정치부문 여성 대표성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백희영 여성가족부 장관은 "정부 정책 결정과정에 여성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것은 양성 평등한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해 선진 일류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앞으로 관련 부처와 적극 협의, 대책을 추진해 여성 참여를 40%까지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kimy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