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 2차전지 음극재 글로벌 공략 시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미에 한ㆍ일 합작 공장
2012년부터 年 2000t 생산
2012년부터 年 2000t 생산
"세계 시장 진출을 통해 음극재 글로벌 선도업체로 나아가겠다. "
13일 경북 구미 산업단지에서 열린 GS칼텍스의 2차전지 음극재 공장 기공식에서 허동수 회장은 이처러 사업 포부를 밝혔다.
GS칼텍스는 일본 최대의 정유업체 JX NOE와 50 대 50으로 합작한 파워카본테크놀러지(PCT)를 통해 음극해 사업에 첫발을 디뎠다.
PCT는 연말까지 음극재 공장을 완공하고,내년부터 한 해 2000t 규모의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전 세계 수요를 100% 충족시킬 수 있는 규모로 그동안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던 물량을 모두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향후 4000t으로 생산 능력을 확대한 뒤엔 일본 히타치 등 해외 업체를 공략한다는 목표다.
음극재는 양극재,분리막,전해질과 함께 2차전지 4대 핵심소재의 하나로 원료에 따라 소프트카본,하드카본,천연 및 인조흑연 계열로 구분된다.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고순도 코크스를 섭씨 1000도 수준에서 열처리해 만드는 소재로 가격이 싸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2007년 GS칼텍스가 국내 최초,세계 두 번째로 개발했다.
허 회장은 이날 "소프트카본계 외에 천연흑연 등 다양한 종류의 음극재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 음극재 사업을 확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새로운 사업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구상을 하고 있다"고 밝혀 추가 신사업 추진 가능성도 열어놨다.
허 회장은 "기존 EDLC(전기이중층커패시터)용 탄소소재 사업과 시너지를 이뤄 GS칼텍스를 세계적인 친환경 신에너지 · 신소재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는 목표도 내놨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
13일 경북 구미 산업단지에서 열린 GS칼텍스의 2차전지 음극재 공장 기공식에서 허동수 회장은 이처러 사업 포부를 밝혔다.
GS칼텍스는 일본 최대의 정유업체 JX NOE와 50 대 50으로 합작한 파워카본테크놀러지(PCT)를 통해 음극해 사업에 첫발을 디뎠다.
PCT는 연말까지 음극재 공장을 완공하고,내년부터 한 해 2000t 규모의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전 세계 수요를 100% 충족시킬 수 있는 규모로 그동안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던 물량을 모두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향후 4000t으로 생산 능력을 확대한 뒤엔 일본 히타치 등 해외 업체를 공략한다는 목표다.
음극재는 양극재,분리막,전해질과 함께 2차전지 4대 핵심소재의 하나로 원료에 따라 소프트카본,하드카본,천연 및 인조흑연 계열로 구분된다.
소프트카본계 음극재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고순도 코크스를 섭씨 1000도 수준에서 열처리해 만드는 소재로 가격이 싸고 안전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2007년 GS칼텍스가 국내 최초,세계 두 번째로 개발했다.
허 회장은 이날 "소프트카본계 외에 천연흑연 등 다양한 종류의 음극재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 음극재 사업을 확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새로운 사업과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구상을 하고 있다"고 밝혀 추가 신사업 추진 가능성도 열어놨다.
허 회장은 "기존 EDLC(전기이중층커패시터)용 탄소소재 사업과 시너지를 이뤄 GS칼텍스를 세계적인 친환경 신에너지 · 신소재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는 목표도 내놨다.
조재희 기자 joyj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