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골퍼는 모든 샷을 멀리 치고 싶어한다. 드라이버샷을 멀리 치려는 아마추어 골퍼들은 아이언샷도 길게 치려 한다. 갑자기 아이언샷이 멀리 나가면 매우 좋아한다. 하지만 아이언샷의 생명은 정확성이다. 거리는 둘째 문제다. 7번 아이언으로 150야드를 치는 사람이 어쩌다 160야드나 170야드를 친다면 이건 큰 문제다. 아이언샷은 조금 덜 나가더라도 일정하게 쳐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언샷에 대한 오해는 또 있다. 당신은 한 라운드에 몇 차례나 '레귤러 온'을 하는가. 파4홀 두 번째 샷에서 그린에 올리거나 파3홀에서 한 번에 그린에 올리는 횟수를 잘 생각해보라.아마 5회를 넘기 힘들 것이다. 반면에 7회 정도를 올린다면 '싱글' 골퍼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그린에 공을 올리기가 쉽지 않다는 얘기다. 그런데 모든 골퍼들이 100%에 가까운 확률로 공을 그린에 올리기를 기대한다.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30%만 그린에 올려도 아마추어로서는 대성공이다. 50%를 넘기면 좋겠지만 이는 욕심이다.

아이언샷의 한계와 속성을 제대로 알고 골프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드라이버샷 200야드를 치는 골퍼가 250야드로 늘릴 수 없듯이 아이언샷도 50%의 그린 적중률을 기록하기 어렵다. 물론 체력을 키우고 꾸준히 연습하면 가능하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지만 천만의 말씀이다. 세계에서 골프를 가장 잘 친다는 미국 PGA 투어프로들의 그린 적중률도 70%를 넘지 않는다.

그린 미스 땐 이들도 아마추어와 마찬가지로 보기를 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대회 중계를 볼 때 프로들이 그린을 미스했을 때 어떻게 파를 세이브하는지 유심히 지켜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그 반대를 잘 지켜보라.그린을 미스할 때 이들이 얼마나 보기를 쉽게 하는지 잘 관찰해보자.파세이브는 정말 운이 좋은 경우다.

그린을 놓치면 수준급 실력을 갖춘 골퍼들도 보기 확률이 60~70%를 넘는다. 결국 아마추어가 그린에 공을 올리지 못한다면 파를 할 수 있는 확률은 10%도 안 된다.

아이언샷은 결코 원하는 대로 그린에 올라가거나 핀에 붙는 것이 아니다. 무모한 '2온'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한다. 대신 위험을 피하는데 집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