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대전 유성구 신동지구(169만㎡)와 둔곡지구(200만㎡)가 최종 확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거점지구에는 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이 들어선다. 또 거점지구를 비즈니스 차원에서 지원할 '기능지구'로는 충북 오송 · 오창 산업단지(청원군)가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충청 지역 유치를 공약한 이후 엄청난 혼선 끝에 돌고돌아 결국 다시 충청권이 최종 낙점받았다. 극심한 국론 분열만 야기한 채 원점으로 회귀한 것이다.

청와대와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 기능지구 선정 결과를 16일 공식 발표한다.

복수의 여권 관계자는 "대전시 대덕연구단지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됐다"며 "대덕단지는 단지 내 기존 정부 출연 연구소와 새로 들어설 연구소 및 시설 간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 50개 기초연구원의 분원 가운데 25개는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대구 · 포항과 광주 등지로 분산 배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과학벨트 선정 문제는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 부재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당초 충청권으로 예정돼 있었던 과학벨트는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면서 세종시로 가닥이 잡혔다. 하지만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됨에 따라 과학벨트의 세종시행은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전국 지자체가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면서 정치권 논란의 핵으로 부상했다.

시간이 갈수록 유치전은 지역 갈등 양상으로 비화했고 부담을 느낀 정부는 선정 시기를 계속 미뤘다. 동남권 신공항,LH(한국토지주택공사) 이전 문제와 마찬가지로 정부 스스로 전국을 지역 갈등의 장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정부가 뒤늦게 대전을 과학벨트 입지로 선정한 것은 무엇보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겨냥했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충청 지역은 1987년 대선 이후 주요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왔다. 결국 정치 논리가 개입한 셈이고,탈락 지역의 강한 반발로 지역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영식/김재후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