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9개 지하도상가 공개경쟁 입찰로 임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지역 29개 지하도상가 2738개 점포에 공개 경쟁 입찰이 적용된다.
서울시는 2009년 강남권 5개 지하도상가에 이어 나머지 24개 지하도상가도 임대 방식을 공개 경쟁 입찰로 바꾼다고 17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시청광장 명동역 을지로입구 종각 을지로 등 5개 지하상가에 대해 입찰공고를 실시한 데 이어 19개 상가도 계약 만료 시점에 맞춰 순차적으로 경쟁 입찰을 추진하기로 했다. 영등포시장 등 10개 지하상가는 오는 8~9월,소공동 지하도상가 등 9개는 12월~내년 1월로 각각 예정돼 있다.
입찰은 상가 단위의 경쟁 입찰로 진행된다. 입찰 참가자격 제한은 없다. 낙찰 업체와 임대기간은 5년 단위이며 낙찰 업체와 개별 점포주도 같은 기간 계약할 수 있다. 수탁자가 상가 편의시설을 설치하면 설치 재산의 가액을 연간 임대료로 나눈 기간만큼 계약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서울시는 2009년 강남권 5개 지하도상가에 이어 나머지 24개 지하도상가도 임대 방식을 공개 경쟁 입찰로 바꾼다고 17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 9일 시청광장 명동역 을지로입구 종각 을지로 등 5개 지하상가에 대해 입찰공고를 실시한 데 이어 19개 상가도 계약 만료 시점에 맞춰 순차적으로 경쟁 입찰을 추진하기로 했다. 영등포시장 등 10개 지하상가는 오는 8~9월,소공동 지하도상가 등 9개는 12월~내년 1월로 각각 예정돼 있다.
입찰은 상가 단위의 경쟁 입찰로 진행된다. 입찰 참가자격 제한은 없다. 낙찰 업체와 임대기간은 5년 단위이며 낙찰 업체와 개별 점포주도 같은 기간 계약할 수 있다. 수탁자가 상가 편의시설을 설치하면 설치 재산의 가액을 연간 임대료로 나눈 기간만큼 계약기간을 연장할 수 있게 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