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부사장, "기술자도 칸트 읽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0730]“정보기술(IT) 전문인력도 칸트를 읽어야만 하는 시대가 됐다.”
글로벌 검색업체인 구글의 기업철학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데이먼 호로비츠 구글 부사장이 새로운 기업 윤리운영 시스템 개발 필요성을 역설했다.
17일 독일 일간 디차이트에 따르면 호로비츠 구글 부사장은 미 스탠퍼드대에서 행한 강연에서 “새로운 테크놀러지들이 개발될 때마다 새로운 윤리기준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이제 구글의 지도검색 서비스인 ‘스트리트 뷰’같은 것을 개발할 때도 ‘칸트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를 고민해야 될 때”라고 분석했다.
그는 “IT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선 이제 기술전문가로서 직업 커리어는 마치고 인문학을 전공하는게 유리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호로비츠 부사장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스트리트 뷰’나 ‘절판 도서 디지털화’같은 구글의 주요 작업이 윤리논란에 휘말린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최근 애플의 경우,아이폰에 내장된 위치저장 기능이 인권침해 논란에 휘말리는 등 IT업체들이 잇따라 윤리분쟁에 얽매이고 있는 상황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글로벌 검색업체인 구글의 기업철학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데이먼 호로비츠 구글 부사장이 새로운 기업 윤리운영 시스템 개발 필요성을 역설했다.
17일 독일 일간 디차이트에 따르면 호로비츠 구글 부사장은 미 스탠퍼드대에서 행한 강연에서 “새로운 테크놀러지들이 개발될 때마다 새로운 윤리기준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이제 구글의 지도검색 서비스인 ‘스트리트 뷰’같은 것을 개발할 때도 ‘칸트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을까’를 고민해야 될 때”라고 분석했다.
그는 “IT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선 이제 기술전문가로서 직업 커리어는 마치고 인문학을 전공하는게 유리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선 호로비츠 부사장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스트리트 뷰’나 ‘절판 도서 디지털화’같은 구글의 주요 작업이 윤리논란에 휘말린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최근 애플의 경우,아이폰에 내장된 위치저장 기능이 인권침해 논란에 휘말리는 등 IT업체들이 잇따라 윤리분쟁에 얽매이고 있는 상황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