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2955만원(2009년 기준)으로 세계적 공업도시인 울산에 이어 2위라는 소식이다. GDP 증가율은 더욱 놀랍다. 최근 10년간 114.8%로 다른 지역 평균의 두 배가 넘는 격차로 1위를 기록했다. 10년 전 1만달러를 겨우 넘던 지역이 10년 사이에 3만달러에 이르는 곳으로 상전벽해한 것이다. 노동생산성과 자본집약도가 뛰어나 산업입지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충남에는 삼성전자의 아산탕정 LCD 공장과 현대제철의 당진제철소 등 대기업이 투자한 거대 공장이 수없이 세워졌다. 당연히 교통이나 물류 등 기간 인프라가 뒤따랐다. 지방 이전을 계획하는 중소기업들도 자연스레 충남 · 북으로 내려간다. 기획재정부 조사 결과 2004년 이후 5년간 지방이전 기업 1782개사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853개사(48%)가 충남 · 북 지역으로 옮겼다. 지리적 근접성과 노동 생산성이 모두 뛰어났기 때문이다. 물론 지역의 노력도 컸을 것이다. 천지개벽이라고 할 만한 상황이지만 모두 수도권 규제를 피해 세워졌다. 이는 경기 등 다른 지역이 상대적인 결핍 상태로 빠져드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충남의 발전은 산업입지적 특성과 장점만으로는 결코 설명되지 않는다. 인프라를 만드는 것은 결국 중앙정부였고 중앙정부는 정치적 고려에 따라 청단위 행정부처를 대전으로 옮긴 것을 시발로 충남 우대 전략을 지속적으로 채택해왔다. 충남 지역은 과거 여러 차례 대선에서 소위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왔다. 영 · 호남이 분열되어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과정에서 충남 지역은 정치적 순간마다 역할을 해왔고 김대중 정권에서는 공동정부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세종시 건설과 최근 과학기술벨트의 선정 등도 이 지역 표심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세종시에 이은 혁신도시의 무더기 건설이 이어졌고 지금은 전국이 나눠먹기식의 개탄스러운 정치갈등 속으로 밀려들고 있다. 충남 지역 1인당 소득이 3만달러가 되었다는 뉴스에 축하의 박수를 보낼 수만은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