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청춘소설에 담은 조직관리의 핵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리커를 읽는다면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리커를 읽는다면》(이와사키 나쓰미 지음,권일영 옮김,동아일보사,1만2000원)은 겉표지만 보면 만화책 같지만 지난해 일본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의 《1Q84》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팔린 책이다.
만년 골찌 팀인 한 고교 야구부의 여자 매니저가 현대 경영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피터 드리커의 경영학 고전 《매니지먼트》를 읽고 야구팀에 활력을 불어넣어 전국대회 결승에 진출시키는 이야기다. 경영서의 형식을 청춘소설로 포장해 일반인들이 '리더의 자질' 등 조직관리의 핵심을 쉽게 이해하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소설 속 여자 주인공인 미나미는 리더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 깨닫고 드리커의 경영 철학을 접목,감독과 선수들의 연대감을 높이며 조직을 바꿔나간다. '만약'이라는 뜻의 일본어인 '모시(もし)'와 드리커의 일본식 발음 '도라(ドラ)'가 합쳐져 '모시도라'란 약칭으로 잘 알려진 책이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
만년 골찌 팀인 한 고교 야구부의 여자 매니저가 현대 경영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피터 드리커의 경영학 고전 《매니지먼트》를 읽고 야구팀에 활력을 불어넣어 전국대회 결승에 진출시키는 이야기다. 경영서의 형식을 청춘소설로 포장해 일반인들이 '리더의 자질' 등 조직관리의 핵심을 쉽게 이해하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소설 속 여자 주인공인 미나미는 리더의 역할과 자세에 대해 깨닫고 드리커의 경영 철학을 접목,감독과 선수들의 연대감을 높이며 조직을 바꿔나간다. '만약'이라는 뜻의 일본어인 '모시(もし)'와 드리커의 일본식 발음 '도라(ドラ)'가 합쳐져 '모시도라'란 약칭으로 잘 알려진 책이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