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급락…코스피 한달여 만에 2100선 깨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피지수 2100선이 한 달여 만에 깨졌다. 외국인과 프로그램 매물 부담이 지수 발목을 붙잡았다.
19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40.27포인트(1.89%) 급락한 2095.51로 장을 마쳤다.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21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달 12일 이후 처음이다.
전날 미국 증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출구전략을 유연하게 시행할 계획이란 방침을 제시하면서 나흘만에 상승했고, 코스피지수도 2140선을 회복하며 출발했다. 그러나 이후 외국인과 프로그램 매물 규모 확대가 진행되면서 지수는 하락 반전했다. 이후 낙폭을 점차 키운 지수는 끝내 2100선 아래로 밀려났다.
외국인이 엿새째 순매도 기조를 이어가며 화학, 운수장비, 전기전자 등을 중심으로 3879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1188억원, 2801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베이시스(선·현물 가격차)의 백워데이션이 지속됐고, 이와 함께 프로그램 매물이 장중 꾸준히 덩치를 불렸다. 차익거래는 2878억원, 비차익거래는 5606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내 전체 프로그램은 8484억원 순매도로 장을 마쳤다.
업종별로 대부분이 약세를 보였다. 오후 들어 지수 낙폭이 커지면서 증권업종이 4% 가까이 떨어졌다. 자동차주가 소속된 운수장비 업종이 2% 밀렸고, 화학도 1% 하락했다. 은행 업종은 대출 관련 우려가 커지면서 1% 내렸다.
한국전력이 요금인상 기대와 해외 수주 등에 힘입어 상승하면서 전기가스업종은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LG패션, 한섬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섬유의복 업종도 상승 마감했다.
시가총액 1∼10위 종목들이 동반 하락하는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증시 전문가들은 자금의 위험자산 선호도가 다소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미국의 2차 양적완화정책(QE2)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유동성 관련 우려가 커졌고, 유로존 재정위기 관련 불확실성도 지수 덜미를 붙잡고 있다는 진단이다.
배성영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날 지수 급락은 외국인 매도 물량이 확대되면서 수급이 꼬였기 때문"이라며 "상품 시장 전망 우려가 가중되면서 위험자산 축소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된다면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도 "미국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과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순매수 포지션이 감소하는 등 세계 유동성이 위험자산을 등한시 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며 "외국인이 프로그램 비차익거래를 통해 매물을 내놓으면서 이날 주도주 업종의 낙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선 하한가 1개 등 634개 종목이 내렸다. 상한가 9개 등 상승 종목은 207개에 불과했다. 51개 종목은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도 2% 이상 떨어지며 490선을 내줬다. 지수는 전날 대비 11.91포인트(2.39%) 내린 487.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강보합세로 장을 출발했지만 이내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관이 장중 꾸준히 매물을 내놓자 낙폭을 점차 확대하는 모습이었다.
기관은 사흘째 매도 우위 기조를 이어가 142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개인은 82억원, 73억원 매수 우위로 잠정 집계됐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상승 종목은 상한가 11개를 비롯해 201개에 그쳤다. 하한가 16개 등 753개 종목은 하락했고 50개 종목은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사흘째 약세를 이어갔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7원(0.16%) 내린 1086.2원에 장을 마감했다.
한경닷컴 오정민·김효진 기자 blooming@hankyung.com
19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40.27포인트(1.89%) 급락한 2095.51로 장을 마쳤다. 지수가 종가 기준으로 21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달 12일 이후 처음이다.
전날 미국 증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출구전략을 유연하게 시행할 계획이란 방침을 제시하면서 나흘만에 상승했고, 코스피지수도 2140선을 회복하며 출발했다. 그러나 이후 외국인과 프로그램 매물 규모 확대가 진행되면서 지수는 하락 반전했다. 이후 낙폭을 점차 키운 지수는 끝내 2100선 아래로 밀려났다.
외국인이 엿새째 순매도 기조를 이어가며 화학, 운수장비, 전기전자 등을 중심으로 3879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1188억원, 2801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했다.
베이시스(선·현물 가격차)의 백워데이션이 지속됐고, 이와 함께 프로그램 매물이 장중 꾸준히 덩치를 불렸다. 차익거래는 2878억원, 비차익거래는 5606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내 전체 프로그램은 8484억원 순매도로 장을 마쳤다.
업종별로 대부분이 약세를 보였다. 오후 들어 지수 낙폭이 커지면서 증권업종이 4% 가까이 떨어졌다. 자동차주가 소속된 운수장비 업종이 2% 밀렸고, 화학도 1% 하락했다. 은행 업종은 대출 관련 우려가 커지면서 1% 내렸다.
한국전력이 요금인상 기대와 해외 수주 등에 힘입어 상승하면서 전기가스업종은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LG패션, 한섬 등이 강세를 보이면서 섬유의복 업종도 상승 마감했다.
시가총액 1∼10위 종목들이 동반 하락하는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약세를 보였다.
증시 전문가들은 자금의 위험자산 선호도가 다소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미국의 2차 양적완화정책(QE2)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유동성 관련 우려가 커졌고, 유로존 재정위기 관련 불확실성도 지수 덜미를 붙잡고 있다는 진단이다.
배성영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날 지수 급락은 외국인 매도 물량이 확대되면서 수급이 꼬였기 때문"이라며 "상품 시장 전망 우려가 가중되면서 위험자산 축소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된다면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재만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도 "미국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과 호주 달러에 대한 투기적 순매수 포지션이 감소하는 등 세계 유동성이 위험자산을 등한시 하는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며 "외국인이 프로그램 비차익거래를 통해 매물을 내놓으면서 이날 주도주 업종의 낙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선 하한가 1개 등 634개 종목이 내렸다. 상한가 9개 등 상승 종목은 207개에 불과했다. 51개 종목은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도 2% 이상 떨어지며 490선을 내줬다. 지수는 전날 대비 11.91포인트(2.39%) 내린 487.03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강보합세로 장을 출발했지만 이내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관이 장중 꾸준히 매물을 내놓자 낙폭을 점차 확대하는 모습이었다.
기관은 사흘째 매도 우위 기조를 이어가 142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개인은 82억원, 73억원 매수 우위로 잠정 집계됐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상승 종목은 상한가 11개를 비롯해 201개에 그쳤다. 하한가 16개 등 753개 종목은 하락했고 50개 종목은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사흘째 약세를 이어갔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7원(0.16%) 내린 1086.2원에 장을 마감했다.
한경닷컴 오정민·김효진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