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9일 내놓은 새로운 중동정책을 통해 노리는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자신이 취임할 때부터 야심차게 추진해왔으나 성과를 내지 못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포석이다. 다른 하나는 튀니지,이집트에서 성공한 민주화 및 개혁의 모랫바람을 촉진시키겠다는 의지다. 시리아 바레인 등에서 민주화 시위가 정부의 유혈 진압을 당하자 경제지원이라는 당근을 제시하는 동시에 제재 등 적극 개입이라는 채찍을 든 것이다. 그에게 중동 평화는 장기적으로 석유가격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인 의미도 크다.

◆1967년 이전 국경선의 의미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시 내놓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중동 평화협상의 축은 '두 개의 국가론'이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국가로 인정하는 한편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의 안전을 보장토록 하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이스라엘에는 팔레스타인 점령지구에 정착촌 건설 중단,팔레스타인에는 테러 중단을 요구했지만 관철시키지 못했다. 오바마 대통령도 이날 연설에서 "성과 없이 협상만 끝없이 이어지는 것에 지쳤다"고 토로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국경선은 1967년 (6일 전쟁 이전의) 경계에 근거해야 한다"는 초강수를 내놓은 배경이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인 거주지역인 서안과 가자지구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돌려줘야 한다는 의미다. 이스라엘은 당시 제3차 중동전쟁을 통해 동예루살렘,요르단강 서안,가자지구,골란고원,시나이 반도를 점령했다.

◆교착된 평화협상 돌파구 찾기

이 같은 초강수는 지지부진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평화협상의 돌파구를 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다급한 사정을 계산에 넣었다. 팔레스타인은 오는 9월 유엔총회 표결을 통해 국가로 인정받으려 한다. 이 때문에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오바마 정부에 유엔 표결을 막도록 원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국가가 승인되면 그동안 양측의 협상을 중재해온 오바마 정부 역시 체면을 구기게 된다. '1967년 경계' 카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이스라엘과의 협상 테이블로 유도하는 효과도 기대한 것이다.

◆중동판 마셜플랜으로 민주화 촉진

오바마 대통령의 새로운 중동정책은 중동 민주화 및 개혁의 봄을 지렛대로 삼으려는 전략이 숨어 있다. 이른바 '중동판 마셜플랜'이다. 이집트와 튀니지에 부채 탕감과 차관 제공 등 40억달러의 경제적 지원을 약속한 것도 이 같은 의도다.

반면 민주화 시위를 폭압하는 중동국가에는 채찍을 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변화를 이끌든지,아니면 방해가 되지 말라"고 다시 한번 경고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