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20% 훼손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울산대 보존연구소 조사
훼손 문제로 관심을 모은 국보 제285호 울산 반구대 암각화가 20% 정도 훼손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울산대 부설 반구대암각화보존연구소 자문위원들은 24일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의 반구대 암각화를 현장답사하고 보존을 위해서는 침수 방지가 가장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현장답사에는 이철 울산대 총장과 자문위원인 문명대 전 서울시 문화재위원장,변영섭 고려대 교수,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장보안 강원대 교수,박경신 울산대 교학부총장 겸 울산시 문화재위원장,이종서 울산대 박물관장,전호태 울산대 역사 · 문화학과 교수,조홍제 울산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등 지질학과 암반공학,선사문화,민속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바위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사냥 모습과 해양 · 육상동물 등 75종 200여점 가운데 20% 정도가 손상을 입는 등 반구대 암각화의 박리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조홍제 교수는 "강도가 약한 퇴적암 면에 평균 1.5㎜ 깊이로 얕게 새겨진 암각화가 수천년 동안 지속적인 풍화를 겪어온 데다 댐까지 건설돼 표면이 비늘처럼 일어나는 박리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암각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확인한 사실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한 뒤 구체적인 보존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위원들은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암각화박물관에서 권혁진 울산시 문화체육국장으로부터 울산시민 생활용수 확보와 함께 추진하는 울산시의 반구대암각화 보존정책에 관해 설명을 들었다. 울산대 반구대암각화보존연구소는 암각화의 영구보존과 역사적 가치 연구를 위해 지난 18일 설립됐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
울산대 부설 반구대암각화보존연구소 자문위원들은 24일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의 반구대 암각화를 현장답사하고 보존을 위해서는 침수 방지가 가장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현장답사에는 이철 울산대 총장과 자문위원인 문명대 전 서울시 문화재위원장,변영섭 고려대 교수,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장보안 강원대 교수,박경신 울산대 교학부총장 겸 울산시 문화재위원장,이종서 울산대 박물관장,전호태 울산대 역사 · 문화학과 교수,조홍제 울산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등 지질학과 암반공학,선사문화,민속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했다.
이들은 바위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사냥 모습과 해양 · 육상동물 등 75종 200여점 가운데 20% 정도가 손상을 입는 등 반구대 암각화의 박리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조홍제 교수는 "강도가 약한 퇴적암 면에 평균 1.5㎜ 깊이로 얕게 새겨진 암각화가 수천년 동안 지속적인 풍화를 겪어온 데다 댐까지 건설돼 표면이 비늘처럼 일어나는 박리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암각화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확인한 사실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한 뒤 구체적인 보존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위원들은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암각화박물관에서 권혁진 울산시 문화체육국장으로부터 울산시민 생활용수 확보와 함께 추진하는 울산시의 반구대암각화 보존정책에 관해 설명을 들었다. 울산대 반구대암각화보존연구소는 암각화의 영구보존과 역사적 가치 연구를 위해 지난 18일 설립됐다.
김재일 기자 kj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