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ㆍ최고위원 분리선출' 막판 복병 부각
계파ㆍ그룹간 이견 속 표결 가능성도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의 7ㆍ4 전당대회의 경선규칙 개정 협상이 중대 고비를 맞고 있다.

당 비대위는 27일부터 28일 새벽까지 11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해 30일 마지막 회의에서 최종 담판을 지을 예정이다.

비대위는 이날 협상에서 대권ㆍ당권 분리 규정에 대해서는 현 당헌을 준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하지만 당 대표의 권한 강화를 놓고 비대위 내 초선, 소장파, 중진간 의견이 첨예하게 맞서는 바람에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그동안 대권ㆍ당권 분리 규정을 둘러싸고 친이(친이명박)ㆍ친박(친박근혜)간 갈등 구조였다면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을 놓고 초선ㆍ중진간 대립 전선이 형성된 것이다.

초선 소장파들은 당 대표 권한 강화를 위해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을 요구했지만 중진들은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지명하는 등 일부 권한을 강화하는 선에서 통합 선출해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소장파는 당 대표ㆍ최고위원을 통합 선출했을 경우 또 다시 `봉숭아 학당'이 될 수 있다며 분리 선출로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시켜 실질적인 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특히 이들은 당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대권ㆍ당권 분리 규정을 완화해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중진들은 대표ㆍ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면 대표 경선의 경우 `1부 리그'가 되고 최고위원 경선이 `2부 리그'로 전락하면서 당 대표 권한이 너무 비대해진다고 우려했다.

김성조 의원은 29일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당 대표의 권한을 보장하되 지금처럼 2∼3위 최고위원이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당무에 보태고 당 운영에 적극 관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계파ㆍ그룹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서면서 30일 비대위 마지막 회의에서도 의견 접근이 끝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표결로 결정하는 방식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경선규칙이 게임의 룰이기 때문에 표결로 가서 결정하면 나중에 전국위에서 시끄러울 수 있다"면서 "가능하면 합의를 하는 원칙을 고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기류 속에 비대위 내에서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친박계는 막판 쟁점에 대한 의견이 맞서 결론을 내지 못한다면 후유증을 낳을 수 있는 표결 대신 현행대로 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최악의 상황인 표결을 막기 위해 대표ㆍ최고위원 분리 선출안을 받아들일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한 친박계 비대위원은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라면 차선의 선택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30일 전대 경선규칙 문제를 매듭짓고 당헌ㆍ당규 개정 조문안을 확정ㆍ의결한 뒤 다음달 7일 전국 상임위 및 전국위원회에서 이를 추인받을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