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Wi-Fi] 민주, 정책 대결 자신하는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원 87명 중 16명 장관 출신…한나라는 172명 중 10명 불과
"한나라당이 반값등록금 등 우리가 주장해 온 정책을 따라오는 데 대해 환영한다. 정책대결에서는 우리가 우위에 있다. "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30일 최근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반값 등록금,감세 철회 등 경제 쟁점과 관련,"한나라당이 국면 전환용으로 치고 빠지지 못하도록 이번만큼은 조목조목 경제논리로 반드시 쐐기를 박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김 원내대표가 한나라당과의 정책대결에 자신감을 보이는 데는 이슈를 먼저 제기했다는 사실 외에 정책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그는 "민주당은 김대중 · 노무현 정부 10년을 지내면서 행정부에서 경륜을 쌓은 장관 출신들이 많지만,한나라당 지도부는 대부분이 판 · 검사 출신의 율사들"이라고 말했다.
실제 민주당 의원 87명 중 장관 출신은 16명에 달한다. 의원 5명에 한 명꼴이다.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손학규 대표를 비롯해 통일(정동영) 산업자원(정세균) 법무(박상천,천정배) 재정경제(홍재형,강봉균,김진표) 기획예산(장병완) 문화(박지원) 과학기술(김영환) 외교(송민순) 농림(김영진,최인기) 국세청 · 건교 · 행안(이용섭) 국정원(신건) 등 국무회의에 버금가는 면모다.
반면 한나라당은 172명의 소속의원 중 전 · 현직 장관은 현직인 이재오 특임장관,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최경환 전 지식경제부 장관 등 10명에 불과하다.
이달 초 나란히 출범한 여야 원내 지도부의 면면도 차이가 크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원회 의장은 모두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판사 출신이다. 이두아 공보대변인도 서울대 법대 출신 변호사다.
반면 민주당은 각각 경제부총리와 국세 · 행안 건교부 장관을 지낸 김 원내대표,이용섭 대변인 등 정책통들이 전면에 나섰다. 정책위 의장에는 '정책 파이터'로 유명한 박영선 의원을 배치했다. '야당의 원내사령탑 진영이 오히려 안정감을 준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원내대표는 여야 원내대표 간 첫 대결이 예상되는 6월 국회에서부터 정책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추가경정 예산편성 등을 강하게 밀어붙인다는 전략이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30일 최근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반값 등록금,감세 철회 등 경제 쟁점과 관련,"한나라당이 국면 전환용으로 치고 빠지지 못하도록 이번만큼은 조목조목 경제논리로 반드시 쐐기를 박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김 원내대표가 한나라당과의 정책대결에 자신감을 보이는 데는 이슈를 먼저 제기했다는 사실 외에 정책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그는 "민주당은 김대중 · 노무현 정부 10년을 지내면서 행정부에서 경륜을 쌓은 장관 출신들이 많지만,한나라당 지도부는 대부분이 판 · 검사 출신의 율사들"이라고 말했다.
실제 민주당 의원 87명 중 장관 출신은 16명에 달한다. 의원 5명에 한 명꼴이다.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손학규 대표를 비롯해 통일(정동영) 산업자원(정세균) 법무(박상천,천정배) 재정경제(홍재형,강봉균,김진표) 기획예산(장병완) 문화(박지원) 과학기술(김영환) 외교(송민순) 농림(김영진,최인기) 국세청 · 건교 · 행안(이용섭) 국정원(신건) 등 국무회의에 버금가는 면모다.
반면 한나라당은 172명의 소속의원 중 전 · 현직 장관은 현직인 이재오 특임장관,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최경환 전 지식경제부 장관 등 10명에 불과하다.
이달 초 나란히 출범한 여야 원내 지도부의 면면도 차이가 크다.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원회 의장은 모두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판사 출신이다. 이두아 공보대변인도 서울대 법대 출신 변호사다.
반면 민주당은 각각 경제부총리와 국세 · 행안 건교부 장관을 지낸 김 원내대표,이용섭 대변인 등 정책통들이 전면에 나섰다. 정책위 의장에는 '정책 파이터'로 유명한 박영선 의원을 배치했다. '야당의 원내사령탑 진영이 오히려 안정감을 준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원내대표는 여야 원내대표 간 첫 대결이 예상되는 6월 국회에서부터 정책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추가경정 예산편성 등을 강하게 밀어붙인다는 전략이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