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뉴타운 2~4구역 등 6개 구역 공공관리제 절차 돌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서울시는 신길뉴타운 6구역과 천호뉴타운 2,3,4구역,용산구 한강로1가 158번지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서대문구 홍제동 8-50번지 재개발사업구역 등 6곳의 정비사업이 최근 공공관리제에 따른 추진위윈회 구성 절차에 들어갔다고 31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이들 구역에 추진위원회 구성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의 70%까지 보조하는 등 총4억7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이 비용은 공공관리자(구청장)가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정비업체를 선정하고 추진위원장 선거에서 부정 행위를 단속하는 데 사용된다.
시는 특히 추진위원장 선거 때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서울시 관계자는 “오는 7월쯤에도 10여 개 정비사업장이 추가로 공공관리제에 따른 추진위원회 구성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공관리제 적용 대상 구역은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 아직 조합이 설립되지 않거나 시공사를 선정하지 못한 총 453개 구역에 이른다. 이중 2009년 7월 성동구 성수 1구역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43개 구역이 공공관리제 절차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관리제를 통해 추진위원회가 난립하는 폐단이 사라지고,자금 흐름까지 공개돼 정비사업이 한층 투명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서울시는 이들 구역에 추진위원회 구성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의 70%까지 보조하는 등 총4억7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이 비용은 공공관리자(구청장)가 공개경쟁입찰 방식으로 정비업체를 선정하고 추진위원장 선거에서 부정 행위를 단속하는 데 사용된다.
시는 특히 추진위원장 선거 때 해당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서울시 관계자는 “오는 7월쯤에도 10여 개 정비사업장이 추가로 공공관리제에 따른 추진위원회 구성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공관리제 적용 대상 구역은 재개발·재건축 사업 등 아직 조합이 설립되지 않거나 시공사를 선정하지 못한 총 453개 구역에 이른다. 이중 2009년 7월 성동구 성수 1구역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43개 구역이 공공관리제 절차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관리제를 통해 추진위원회가 난립하는 폐단이 사라지고,자금 흐름까지 공개돼 정비사업이 한층 투명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