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갈수록 민주당과 비슷해지고 있다. 이번엔 노동 현안에 목소리를 냈다.

한나라당 내 초선 의원들의 주축 모임인 '민본21'이 앞장섰다. 민본21은 '좌클릭'의 선두에 선 황우여 원내대표와 이주영 정책위 의장의 정책적 뿌리로 평가받는다. 민본21은 2일 국회에서 정례회의를 갖고 내달부터 시행을 앞둔 노조법 재개정과 최저임금,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에 대해 언급했다.

모임의 간사이며 한국노총 부위원장 출신인 김성태 의원은 "복수노조가 당장 다음달부터 생기는데 노노(勞勞)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며 "6월 임시국회에서 당 차원의 법안 재개정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차별 해소와 최저임금 인상안도 화두에 올렸다. 김 의원는 "노조법 개정안에는 사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비정규직 차별 해소 방안 등도 담겨야 한다"며 "최저임금도 실질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내년엔 인상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저임금은 노동단체가 요구하는 수준까지 올리는 것도 어려운 일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민본21이 노동 현안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내면서 민주당과의 정책 차별성은 더욱 옅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새로운 원내 지도부를 포함해 소장파 의원들은 '복지예산 10조원 확충' '공무원 증원' '전 · 월세 상한제' '이자율 상한제'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황인데,이는 민주당 등 야당이 주장해온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나라당의 정책 변경은 4 · 27 재 · 보선 패배가 직접적 원인이다. 서민과 중산층의 돌아선 민심을 붙잡겠다는 의지인 셈인데,이번엔 한국노총이 중심에 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